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3조 규모' 4단계 BK21 예비 결과…전국단위 상위 10개 대학이 85% 차지

교육부, 서울대·성균관대·부산대·고려대 등 68개 대학 선정

지방 균형 발전 위해 전국·지역 나눠 총 562개 교육연구단(팀) 지원

 

[ 메트로신문 이현진 기자 ] 교육부가 세계적 수준의 대학원을 육성하기 위해 지원하는 '4단계 두뇌한국(BK)21 사업' 전국단위 예비 결과에서 사업단 기준 상위 10개 대학이 총 사업단 수의 85%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선정평가를 거쳐 선정한 386개 연구단 중 전국단위 사업 연구단은 215곳으로 이 중 184개 연구단이 상위 10개 대학에서 뽑혔다. 지역단위에서도 상위 10개 대학이 전체 사업단 70%를 차지했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4단계 두뇌한국21 사업의 예비 선정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사업에는 93개 대학 총 695개 교육연구단, 364개 교육연구팀이 신청했으며, 선정평가를 거쳐 68개 대학 386개 교육연구단과 176개 교육연구팀 등 총 562개 교육연구단(팀)을 예비 선정됐다.

 

 

image
전국단위 예비 선정 결과 상위 15개 대학 (순위는 연구단 기준)

서울대는 42개 사업단과 4개 사업팀이 선정됐다. 이어 전국 단위에서 ▲성균관대 (28개 사업단/3개 사업팀) ▲연세대 (27/3) ▲고려대 (25/5) ▲카이스트 (15/0) ▲포스텍 (11/0) ▲한양대 (10/11) ▲중앙대 (9/5) ▲인하대 (8/1) ▲한양대 에리카 (7/1) ▲경희대(6/1) ▲아주대(4/0)  ▲서강대(3/5) ▲이화여대(3/3) ▲UNIST(3/2) ▲서울시립대(2/4) ▲건국대(1/5) 등이 각각 뽑혔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4단계 사업에서 지역대학을 별도로 선정했다. 지역 단위 우수 인재 양성과 균형 발전을 지원한다는 계획에서다.

 

image
지역단위 예비 선정 결과 상위 15개 대학 (연구단 기준)

지역단위에서 가장 많은 사업단이 선정된 대학은 부산대다. 이어 ▲경북대(21/7) ▲전남대(17/7) ▲충남대(16/7) ▲전북대(14/7) ▲충북대(10/2) ▲부경대(9/2) ▲경상대(7/1) ▲강원대(5/10) ▲순천향대(5/0) ▲영남대(4/9) ▲연세대 미래(4/6) ▲제주대(4/0) ▲고려대 세종(3/4) ▲동아대(3/2) ▲한림대(2/2) ▲공주대(2/3) 등이 예비 선정됐다. 

 

교육부는 5개 이상의 연구단이 선정된 19개 대학에는 대학원혁신지원비도 지원한다.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을 목표로 대학원 제도 개혁을 독려하기 위해서다. 대학원혁신지원비는 ▲대학원 국제 경쟁력 강화 ▲연구 환경·질 개선 ▲대학원 교육 개선 등에 활용된다. 대학원혁신지원비를 받는 대학은 경희대·고려대·서울대·성균관대·연세대·인하대·중앙대·포항공대·한양대·한양대(ERICA)·강원대·경북대·경상대·부경대·부산대·전남대·전북대·충남대·충북대 등이다. 지원비는 대학별 교육연구단 수, 참여 교수, 대학원생 수 등을 고려해 배분된다.

 

예비 선정 결과 분석 결과, 교육부가 세계적 수준의 대학원을 육성하기 위해 지원하는 '두뇌한국(BK)21 사업'의 문제점으로 꼽혀왔던 상위권 쏠림현상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전국단위사업에서의 사업단 기준 상위 10개 대학이 총 사업단 수의 85%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215개 사업단 가운데 서울대·성균관대·고려대 등 상위 10개 대학에서만 사업단 184개가 뽑혔다.

 

지역단위에서도 정도가 덜할 뿐 쏠림현상이 있긴 마찬가지다. 전체 171개 사업단 중 70%에 달하는 123개 사업단을 상위 10개 대학에서 쓸어갔다. 이번 사업에 선정된 대학이 68개 대학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사업단이 상위 15% 대학에 쏠려있는 셈이다.

 

다만, 지난 2013년 발표된 3단계 BK21 사업에서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64개 대학 중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이른바 'SKY대'가 사업비의 36%(820억원)를 차지했던 것에 비하면 다소 쏠림 현상은 완화됐다.

 

예비 선정 결과에 따라 교육부는 대학으로부터 이의신청을 접수·검토한 뒤, 현장점검을 통해 교육연구단(팀)이 작성한 실적을 확인해 오는 9월에 최종 선정 여부를 확정할 계획이다. 각 사업단(팀)이 지원받게 될 사업비도 최종 선정 확정시 함께 발표될 예정이다.

 

각 대학의 사업단과 사업팀마다 지원 금액이 다른 점을 고려하면, 지원액 기준으로 볼 경우 사업단(팀) 수의 단순 비교 순위는 다소 바뀔 수 있다. 2013년 선정된 3단계 사업에서도 포스텍은 8개 사업단, 1개 사업팀이 선정되는 데 그쳤지만, 20개 내외 사업단이 선정된 경희대, 전남대, 전북대 등에 비해 더 많은 83억 7800만원의 지원금을 받은 바 있다. 다만, 사업팀은 3인 이상 교수가 모이는 조건인 데 비해, 사업단은 학과 교수 70% 이상이 참여해야 하고, 최소 교수 수가 7인 이상이어야 해 통상 '팀'보다는 '단'이 더 많은 지원액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종 선정된 교육연구단(팀)은 9월부터 7년간 사업비를 지원받게 된다. 교육부는 이후 사업 유형별로 연구업적물에 대한 질적평가를 100%로 삼아 중간평가를 실시하고,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사업단(팀)의 탈락 및 재선정, 사업비 조정 등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3단계 BK21 플러스 사업 후속으로 2020년 9월부터 7년간 진행되는 4단계 BK21 사업은 학문후속세대가 학업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신진연구인력 인건비 등을 지원해 석·박사급 연구 인력 양성사업이다. 해마다 1만9000명의 석·박사급 대학원생을 지원하며 규모는 7년 간 총 2조9000억원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두뇌한국21 사업은 지난 20여 년 간 사회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는 석·박사급 인재를 양성해 학술·연구 발전의 초석을 다져왔다"라면서 "이번 4단계 두뇌한국21 사업이 우수한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통해 우리 대학들이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 도약하는 대전환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