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생이 꼽은 자존감도둑, 2위 '면접관'… 1위는 '나 자신'
자존감 훔친 나쁜 말 1위 "지금까지 뭐 하셨어요?"
취준생 열에 아홉이 취준생활 중 자존감에 상처를 입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취준생들은 자존감에 상처를 입힌 '자존감도둑'으로 다름 아닌 나 자신을 1위에 꼽았다.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아르바이트 대표포털 알바몬과 함께 취준생 1694명을 대상으로 '자존감도둑'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취준생 약 95%가 취준생활 중 자존감에 상처를 받는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을 다친 경험의 빈도를 살펴 보면 36.0%가 '자주, 빈번히 자존감에 상처를 받는다'고 답했는가 하면 '어쩌다 한번씩, 이따금 상처 받는다'는 응답도 33.7%로 높았다. 특히 4명 중 1명 꼴로 '늘, 항상 자존감에 타격을 입어 위축된 상태(25.6%)'라는 응답이 이어졌다.
'늘 자존감에 타격을 입는다'는 응답은 1년 이상 장기 취준생에게서 36.6%로 특히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취준기간이 3개월 이내인 취준생 그룹의 17.3%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반면 '전혀 자존감에 상처를 받은 적이 없다'는 응답은 4.7%로 극소수에 불과했다.
눈길을 끄는 것은 취준생에게 가장 많은 상처를 입히는 사람이 다름 아닌 자기 자신이라는 점이었다. '자존감에 가장 많은 상처를 입힌 자존감도둑은 누구인지'를 물은 결과 '나 자신'을 꼽는 응답이 61.5%의 응답률을 기록, 압도적인 1위에 올랐다.
2위를 차지한 '기업 인사담당자, 면접관(38.5%)'을 23%포인트 이상 크게 앞선 수치였다. 이어 ▲동기, 친구(26.7%) ▲엄마(24.6%)가 나란히 3, 4위를 차지한 가운데 '아빠(19.7%)'가 5위를 차지했다. 여기에 '친척들(15.4%)', '형제/자매(13.6%)' 등이 주요 자존감도둑으로 꼽히며, 기업 인사담당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존감도둑이 취준생과 가까운 관계를 맺고 있는 주변 지인들로 조사됐다.
취준생들은 또 가장 자존감에 상처를 받았던 순간(*복수응답)들도 떠올렸다. 취준생들이 꼽은 자존감에 상처 입는 순간 1위는 '다른 사람과 나의 형편이 비교될 때(42.8%, 응답률)'가 차지했다.
2위는 '내 노력이나 시간을 함부로 평가할 때(35.3%)'가, 3위는 '부모님께 손 벌릴 때(26.7%)'가 각각 차지했다. 이어 '다른 사람의 취업소식을 들었을 때(26.1%)'와 '채용공고를 확인하면서 현타(현실자각 타임의 준 말)가 올 때(22.9%)'가 차례로 자존감에 상처 입는 순간 5위 안에 올랐다.
그밖에 ▲지원한 회사에 불합격했을 때(22.6%) ▲함부로 조언이나 참견할 때(21.4%) ▲나를 무시하는 듯한 태도를 취할 때(15.4%) ▲ 안될 거라 지레 짐작하거나 비관적인 전망을 할 때(15.0%) ▲실패사실을 자꾸만 들추거나 확인할 때(13.7%)도 자존감에 상처를 입는다는 응답이 이어졌다.
그렇다면 실제로 취준생들의 자존감에 상처를 입힌 말들은 무엇이 있을까? 취준생이 자존감에 상처 입은 말 1위는 "지금까지 뭐하셨어요?(34.9%, 응답률)"였다. 이어 "집에만 있지 말고 좀…(24.4%)"이 2위를 차지한 가운데 "그러게 진작 공부 좀 하지"와 "대체 취업은 언제 할 거니?"가 각각 23.2%의 응답률로 공동 3위에 올랐다. ▲노력이 부족한 것 아닌가요?(20.7%) ▲적당한 데 취직해(16.6%) ▲들었어? OO이 취업했대(15.9%) ▲너한테 기대가 컸는데(12.8%) ▲이번에는 어떻게 됐어?(12.3%) 등도 취준생들이 듣고 자존감에 상처를 입었던 대표적인 말들이었다.
한편 대다수의 취준생들은 자존감에 상처를 받아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에 상처를 입었을 때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딱히 방법이 없다'는 응답이 34.6%로 가장 많았다. 여기에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린다(21.0%) ▲그 사람과의 만남을 줄이거나 피한다(12.6%) ▲나를 믿고 극복한다(9.7%)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