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직장인 10명 중 7명, 코로나로 바뀐 직장 생활 '긍정적'

직장인 10명 중 7명, 코로나로 바뀐 직장 생활 '긍정적'

 

사람인 제공

코로나19로 회식 자제나 재택 근무 등 직장 생활에도 큰 변화의 물결이 밀어닥친 가운데,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이러한 변화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직장인 1925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생활 변화'를 조사한 결과, 66.5%가 '긍정적'이라고 밝혀 '부정적'(33.5%)이라는 답변보다 두 배 더 많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가 70.1%로 가장 많았고, 20대(65.2%), 40대(62.7%), 50대 이상(59.8%)의 순이었다.

 

변화된 부분 중 가장 긍정적인 것은 '회식 자제'(30.7%)가 1위였다. 다음으로 ▲사내 행사 축소/취소(20.8%) ▲재택근무 등 원격근무 실시(16.6%) ▲비대면 보고/회의 활성화(11.5%) ▲출장/미팅 최소화(9.6%) ▲시차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 확대(7.8%) 등을 꼽았다.

 

이러한 변화가 긍정적인 이유는 '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서'(54.8%,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감정 소모와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어서(45.6%) ▲신체적 건강 관리에 도움이 돼서(22.5%) ▲업무 성과와 효율성이 향상돼서(22%) ▲심한 사내 정치 등 악습이 없어져서(12.8%) ▲조직에 혁신을 일으키는데 도움이 돼서(8.2%) 등의 순이었다.

 

변화된 문화로 인한 업무 효율에 대해서는 전체 직장인의 36.3%가 이전보다 더 '좋아졌다'고 답변해, '나빠졌다'는 응답(24.4%)보다 11.9%p 많았다. 39.3%는 '차이가 없다'고 응답했다.

 

다만, 기업 형태별로 살펴보면 기존보다 더 '좋아졌다'는 응답은 대기업(48.2%)이 중견기업(37.4%)이나 중소기업(33.5%) 재직자보다 많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대기업에 원격/재택 근무 등 변화된 업무 환경에 대응 가능한 인프라가 더 잘 갖춰졌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렇다면, 변화된 문화가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생각할까.

 

55.4%가 '유지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새로운 문화/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어서'(46.2%,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직원들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어서(32%) ▲업무 성과, 효율성 향상이 있어서(21.1%) ▲내부적으로 일하는 방식에 변화가 필요한 타이밍이어서(20%) ▲변화를 유지하려는 경영진의 의지가 있어서(13.7%)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반면, '유지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들(859명)은 그 이유로 '경영진이 달가워하지 않아서'(39.2%,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밖에 ▲업무 성과와 효율성이 낮아져서(25.5%) ▲업직종 특성상 유지에 한계가 커서(24%) ▲직원들의 반발, 불편함이 있어서(16.1%) ▲기존에 없던 다른 부작용들이 생기고 있어서(14.6%) ▲장기간 검증되지 않은 방법이어서(13.9%) 등이 있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