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한신대, 27일까지 국제심포지엄 '대북제재, 평화를 만드는가' 개최

한신대, 27일까지 국제심포지엄 '대북제재, 평화를 만드는가' 개최

 

세계 유명 석학 모여 '대북제재와 봉쇄가 한반도 평화에 미치는 영향' 발표·토론

 

한신대 개교8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대북제재는 평화를 만드는가?'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한신대 제공

한신대는 오는 27일까지 '대북제재는 평화를 만드는가?'를 주제로 개교 80주년 기념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교육부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된 이번 국제 심포지엄은 한신대 글로벌피스센터(센터장 이해영), 한국안보통상학회(회장 이용호), 아시아태평양YMCA연맹(사무총장 남부원)이 주최하고 한신대 글로벌피스센터가 주관한다.

 

심포지엄은 한반도가 한국전쟁 발발 70년이 지나도록 아직도 냉전의 최전선으로 남아있는 근본 이유가 무엇인가를 묻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민(民)의 평화프로세스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획됐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대북 제재와 봉쇄가 한반도의 평화에 기여하기 보다는 오히려 한반도 민(民)의 자주적이고 자조적인 교류와 협력을 방해하고 한반도에 거주하고 있는 민(民)의 생존권과 인권을 침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알아본다.

 

이번 국제평화심포지엄 위해 피터 월렌스틴(Dr. Peter Wallensteen) 스웨덴 웁살라대 석좌교수, 엠마 레슬리(Dr. Emma Leslie) 캄보디아 분쟁과 평화연구센터 사무총장, 박한식 미국 조지아대 석좌교수,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 김용복 한신대 석좌교수 등이 주제 강연 및 발표자로 참여한다.

 

심포지엄은 지난 24일 개막했으며 두 번째 날인 25일에는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 현황과 결과'를 주제로 엠마 레슬리 캄보디아 분쟁과 평화연구센터 사무총장과 백일 울산과학대 교수의 발표, 한센둥 중국 정법대 교수, 서재정 일본 국제기독교대 교수, 강호제 독일 베를린자유대 교수의 토론이 이어진다.

 

세 번째 날인 26일에는 '제재와 평화, 국제법과 국제정치'를 주제로 피터 월렌스틴 스웨덴 웁살라대 석좌교수, 최승환 경희대 교수, 홍현익 세종연구소 박사의 발표, 이용호 영남대 교수, 박강성주 핀란드 투르쿠대 교수, 이준규 국제평화국 운영위원의 토론이 마련돼있다.

 

심포지엄 마지막 날인 27일에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글로벌 시민 네트워크-미래평화를 위한 실천과제'를 주제로 김용복 한신대 석좌교수, 이해영 한신대 글로벌피스센터장의 발표, 니달 아부줄루프 박사(팔레스타인 JAI 코디네이터), 남부원 아시아태평양YMCA연맹 사무총장, 이충재 국경선평화학교 사무총장의 토론이 이어진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제 심포지엄의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전 일정은 줌(https://c11.kr/jkme)을 통해 온라인으로 열린다. '한겨레TV'와 한신대 공식 유튜브 채널인 '보라, 한신대TV'를 통해서 생중계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