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코로나세대가 포기한 것 1위 '취업'…내 집 마련도 언감생심

코로나세대가 포기한 것 1위 '취업'…내 집 마련도 언감생심

 

2030세대 99.5%, '나는 코로나 세대'… 직장인은 인간관계 '포기'

 

"부모님 용돈 커녕 대출 상환 어렵다"

 

인크루트 제공

2030세대 대부분은 본인이 '코로나 세대'임에 공감하는 가운데, 직장인은 코로나 이후 인간관계를, 대학생과 구직자는 취업을 포기했다고 밝혔다.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20·30대 회원 679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세대'를 주제로 설문조사 한 결과다.

 

올해 코로나19 사태이후 일각에서는 코로나로 꿈과 희망마저 포기하고 위기로 내몰리고 있는 청년들을 일컫어 '코로나 세대'로 칭하고 있다.

 

현 2030대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먼저,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본인이 코로나 세대라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 2030대 95.5%는 '본인이 코로나 세대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코로나19로 인해 진로, 취업걱정 및 스트레스가 높아짐(26.5%) ▲취업, 아르바이트 등 일자리, 생활비 구하기 어려움(24.5%)을 가장 먼저 꼽았다. 코로나 이후로 일자리와 더불어 생활비를 구하기 어렵고, 더 나아가 본인의 미래, 진로에 대한 불안감과 스트레스가 심화된 것이다.

 

이어 ▲인생의 중요한 시점에 코로나19를 맞닥뜨림(21.3%) ▲인적 교류가 없어짐(16.4%) 등의 이유가 확인됐다. 응답자 상태별로는 직장인(90.4%)보다 대학생(98.8%), 그리고 구직자(97.5%) 가 현재 본인이 '코로나로 꿈과 희망을 잃은 세대'라고 동의했다.

 

그렇다면 이들이 '코로나 세대'로서 현재 포기하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최대 3개까지 복수선택 한 결과, 1위에는 취업(17.8%)이 꼽혔다. 대학생 및 구직자의 참여비율이 높았던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어 ▲인간관계(16.4%) ▲목돈, 자금마련(12.7%) ▲장래희망, 꿈(11.7%) ▲학업(10.1%) ▲내 집 마련(5.9%) ▲결혼(4.2%) ▲효도(3.9%) ▲대출상환(3.7%) ▲창업준비(3.1%) 출산▲육아(2.1%) ▲노후준비(1.7%) 순으로 포기한 것들이 나열됐다.

 

대면활동이 줄어든 탓 인간관계 결여에 대한 우려가 높았는데, 이는 특히 직장인에게서 가장 많은 득표를 받기도 했다. 또한 자금마련이 어려워지자 부모님 용돈은 물론 대출금 상환까지 미루는 등 경제적 악순환이 반복되는 모습이었다.

 

본 설문조사는 이달 23일부터 26일까지 사흘간 진행됐다. 2030세대 총 679명이 참여했는데 대학생(35.8%), 직장인(30.2%), 구직자(29.6%) 순으로 분포됐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76%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