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기업 67% "코로나19로 사내보안 강화 필요성 커졌다"

기업 67% "코로나19로 사내보안 강화 필요성 커졌다"

 

사람인 제공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가 늘면서 보안에 취약한 근무 환경을 약점으로 하는 피싱 및 악성 코드 감염이 이슈가 되고 있다. 실제 기업 10곳 중 7곳은 코로나19로 사내보안 강화 필요성이 커졌다고 답했다.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244개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와 사내 보안'에 대해서 설문한 결과, 67.2%가 사내 보안 강화 필요성이 커졌다고 답했다.

 

보안 강화가 필요한 이유로는 'USB, 외장하드 등의 외부 이용이 불가피해서'(54.9%,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재택 시 회사 내부 보다 보안이 취약해서(40.9%) ▲직원들의 보안 의식이 낮아서(36.6%) ▲보안이 보장되지 않는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어서(33.5%) ▲개인 소유의 기기로 업무 할 일이 많아져서(28.7%) ▲유출에 민감한 개인정보 등을 다룰 일이 많아서(28.7%) 등을 이유로 들었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늘고 사내 보안망을 벗어나는 일이 많아지면서 사내 정보가 외부에 유출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들 기업은 재택근무 시 보안강화가 필요한 부분으로 '네트워크 환경'(53%, 복수응답)과 'USB, 외장하드 등 이동식 저장장치'(51.8%)를 1,2위로 꼽았다. 이어 ▲업무 문서(31.1%) ▲업무용 메신저(22%) ▲이메일(19.5%) ▲회계, 구매 등 업무 시스템(16.5%) ▲클라우드(14%)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보안 강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기업 44.3%가 최근 업무 환경 변화에 맞춰 보안 강화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들 기업 중 절반에 가까운 49.1%의 기업이 보안 강화를 위해 '사내보안솔루션 구입 또는 구축'(복수응답)을 했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백신 프로그램 설치 의무화(35.2%) ▲사내보안교육 강화(32.4%) ▲외부반출 문서 승인 절차 강화(25.9%) ▲이메일, 메신저 체크(21.3%) ▲모든 업무 문서 암호화(16.7%) ▲특정 사이트 또는 메신저 사용 차단(14.8%) ▲피싱 등 위협 대응체계 구축(14.8%) 등의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안 강화를 위한 대책이 없는 기업 (136개사)은 그 이유로 '인원, 비용 등 여력이 부족해서'(52.9%, 복수응답)를 첫번째로 꼽았다. 이어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27.9%) ▲보안 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20.6%) ▲직원 개개인의 보안 의식이 더 중요해서(14.7%) 등의 답변 순이었다.

 

한편, 전체 응답 기업(244개사) 중 23.4%가 코로나19 상황을 노린 피싱 및 악성코드로 의심되는 위협을 받은 경험이 있었고, 15.2%는 실제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