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기업 절반, 코로나 19 여파로 전년 대비 실적 '역성장'했다

기업 절반, 코로나 19 여파로 전년 대비 실적 '역성장'했다

 

기업 10곳 중 7곳이 경영 목표 미달

 

사람인 제공

2020년에는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위기 'C-쇼크'로 인해 기업 10곳 중 7곳이 경영 목표를 이루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업 절반은 실적이 지난해보다 역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333개사를 대상으로 '2020 경영 실적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20년에 2019년보다 역성장한 기업도 절반을 넘었다. 전체 응답 기업 중 49.6%가 지난해보다 실적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기업 형태별로는 중소기업(50.6%)이 대기업(45.5%)보다 역성장했다는 응답이 5.1%p 높았다.

 

'차이 없다'는 답변은 22.2%였으며, '성장했다'는 곳은 28.2%였다. 특히 성장했다는 답변은 대기업(33.3%)이 중소기업(27%)보다 6.3%p 많아, 상대적으로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역성장한 기업은 적고, 성장한 기업이 많았다.

 

역성장한 기업들은 지난해 대비 실적이 평균 30.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20%'(17.6%), '40%'(15.8%), '10%'(14.5%), '30%'(13.9%), '50% 이상'(11.5%) 등의 순이었다.

 

시장 상황이 전반적으로 침체됨에 따라 기업 70.6%는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고 밝혔다. 기업 형태별로는 중소기업(73.4%)이 대기업(59.1%)보다 목표 달성에 실패한 비율이 14.3%p 더 높았다.

 

올해 목표 실적을 달성하지 못한 이유는 '코로나 사태에 따른 매출 감소'가 83%(복수응답)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밖에 ▲시장 성장성이 정체 또는 후퇴함(31.5%) ▲적극적인 영업, 마케팅 활동 불가(25.5%) ▲유휴인력 및 인건비 부담 증대(9.8%) ▲해외 수출 감소(8.5%) 등이 있었다.

 

이들이 달성한 실적은 애초 계획 대비 58.5%로, 절반을 간신히 넘는 수준이었다.

 

기업들이 전망한 2021년도 실적도 비관적이다. 응답 기업의 43.9%가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좋아질 것'이라는 답변이 34.5%로 '더 악화될 것'(21.6%)이라는 응답에 비해 다소 우세했다.

 

한편, 기업들은 C-쇼크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코로나19의 빠른 종식과 소비심리 회복'(69.1%,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꼽았다. 계속해서 ▲공격적인 신규 판로개척, 마케팅(28.2%) ▲법인세 감면, 유예 등 세제혜택(26.1%) ▲우수 인재 채용(20.1%) ▲R&D 등 경쟁력 강화(13.2%) ▲공적자금 투입 등 내수 진작(11.1%) 등을 들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