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서울시, 정보화분야 3213억원 투자…일자리 3245개 창출

서울도서관과 시청 전경/ 손진영 기자

서울시가 올해 총 1045건 정보화 사업에 3213억원을 투자해 코로나시대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디지털서비스 혁신을 확대한다. 특히 스마트도시 분야 220건 사업에 1263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21일 서울시에 따르면 스마트도시 사업은 ▲폐쇄회로(CC)TV 69건(316억원) ▲와이파이(WiFi) 8건(241억원) ▲사물인터넷(IoT) 30건(234억원) ▲지리정보시스템(GIS) 15건(122억원) ▲비대면 30건(117억원) ▲빅데이터 26건(99억원) ▲클라우드 2건(65억원) ▲모바일 24건(31억원) ▲인공지능 13건(31억원), 블록체인 3건(7억원)이다.

 

2021년도 서울시 정보화사업 유형별 현황/ 서울시 제공

기관별로 ▲서울시 355건(1562억원) ▲25개 자치구 532건(902억원) ▲투자·출연기관 158건(749억원)이다.

 

유형별로는 ▲시스템구축 72건(568억원) ▲전산장비와 솔루션 도입 166건(734억원) ▲소프트웨어(S/W)개발 65건(170억 원) 등이다.

 

정보화사업 발주 시기별로 보면 ▲1분기(1~3월) 476건(46%) ▲2분기(4~6월) 108건(10%) ▲3분기(7~9월) 이후 28건(3%)이 각각 추진된다.

 

서울시 정보화사업은 한국은행 취업유발계수를 적용하면 3245개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다.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의 재화를 산출할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고용자수다.

 

주요 사업으로 스마트도시 분야는 서울시 전역에 공공와이파이를 조성하고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S-Map플랫폼 고도화 등이 있다. 2020년에 이어 올해 공공와이파이 6790대가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코로나 시대 비대면 사업에도 117억원을 투자한다. 단방향 온라인 콘텐츠 교육에 쌍방향 비대면 실시간 영상교육 방식을 추가 도입하는 평생학습포털 고도화 사업을 비롯해 서울 통계통합 플랫폼 구축, 지능형 영상협업 시스템 구축 등이 이뤄진다.

 

또한,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라 서울시 컴퓨팅 환경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통합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마련해 정보자원의 신속하고 유연한 활용에 대비한다.

 

내부행정의 개선·확대를 위한 차세대 업무관리시스템 고도화와 확산(정보공개정책과), 차세대 대학정보화 구축사업(서울시립대학교), 전사자원통합관리시스템 구축 1단계(서울주택도시공사) 등도 실시된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코로나시대 감소하는 청년일자리 확보와 중소ICT(정보통신기술)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침체된 경제에 활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며 "최신 스마트기술을 적시적소에 적용해 시민 안전과 삶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 정보화사업 내용과 발주일정 등에 관한 사항은 '2021년 서울시 정보화사업 발주 정보(http://info.seoul.go.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