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고용시장 ‘뉴노멀’ 된 언택트 채용…기업 절반 ‘도입했거나 도입 예정’

기업 389개사를 대상으로 '언택트 채용 전형 도입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절반인 50.1%가 '도입했거나 도입할 예정'이라고 답했다./사람인 제공

코로나19 여파로 기업에서 언택트 채용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389개사를 대상으로 언택트 채용 전형 도입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절반인 50.1%가 '도입했거나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년 3월 같은 조사 결과(31.2%)에 비해 19.9%p 상승한 수치다.

 

기업 형태별로는 대기업(67.7%)이 중소기업(46.8%)보다 도입했거나 도입할 예정인 비율이 20.9%p 높았다.

 

언택트 채용 전형을 도입하는 이유는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해서'(87.2%, 복수응답)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지방 거주자 등 지원자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26.7%) ▲최대한 많은 구직자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서(22.1%) ▲전형 운영과 평가 관리 등이 편해서(22.1%) ▲지원자들이 온라인 활동에 익숙한 세대라서(16.4%) ▲젊고 친근한 기업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9.7%) 등의 순이었다.

 

이들 기업이 도입한 언택트 채용 전형은 '면접 전형'이 89.2%(복수응답)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밖에 ▲인적성 검사(23.1%)▲채용설명회(8.2%)▲필기 시험(5.1%) 등이 있었다.

 

언택트 전형 도입 시기는 '올해 1분기'(23.6%)가 가장 많았다. 뒤이어서 ▲올해 2분기(12.3%) ▲2021년 이후(11.3%) ▲작년 3분기(9.7%)▲올해 3분기(8.2%)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언택트 채용의 정착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언택트 채용을 진행 중인 기업(70개사)들이 겪는 어려움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어려움으로는 '면접 진행 시 대면보다 평가가 어려움(44.3%,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연결 끊어짐 등 시스템 운영이 어려움(35.7%) ▲지원자, 평가자 모두 익숙하지 않아 전형 진행이 어려움(31.4%) ▲지원자 안내 등 관리가 어려움(30%) ▲인적성, 필기시험에서 지원자의 부정행위 적발이 어려움(22.9%) 등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아직까지는 기존의 대면 전형과 비교한 언택트 전형의 효율성은 '낮다'(44.3%)는 응답이 '높다'(18.6%)는 응답보다 2배 넘게 많았다. '비슷하다'는 답변은 37.1%였다.

 

반면, 언택트 전형을 도입할 의향이 없는 기업(194개사)들은 그 이유로 ▲채용이 많지 않고 채용 규모가 작아서(49.5%, 복수응답) ▲면접 등 전형은 대면이 꼭 필요해서(45.9%) ▲오프라인보다 효율이 떨어지는 것 같아서(26.3%) ▲시스템, 솔루션 구축이 어려워서(25.3%) ▲초기 비용이 많이 들어서(13.9%) 등을 들었다.

 

#언택트 #코로나19 #기업 #채용 #대기업 #중소기업 #면접 #인적성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