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기업 절반, MZ세대 잡기 위해 노력…"자유로운 근무 환경 조성"

50.6%, MZ세대 인재 관리에 어려움 느껴

 

기업 2곳 중 1곳은 MZ세대 인재를 영입하고 장기 근속하도록 하기 위해 노력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한, 기업 절반은 MZ세대 직원을 관리하는 데 어려움도 겪고 있다고 답했다./사람인 제공

새로운 성장동력인 MZ세대는 이전 세대와 확연히 다른 특성으로 기업들의 고민이 깊은 가운데, 기업 2곳 중 1곳은 MZ세대 인재를 영입하고 장기 근속하도록 하기 위해 노력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271개사를 대상으로 'MZ세대 인재 유입과 장기 근속을 위한 노력 여부'을 조사한 결과, 49.1%가 '별도로 노력하는 것이 있다'고 밝혔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MZ세대는 우리나라 인구의 33.7%를 차지하고 있다. MZ세대 인재 유입과 장기 근속을 위해 노력하는 이유는 '이전 세대와 사고, 행동 양식 차이가 커서'(41.4%, 복수응답)가 1위였다. 다음으로 ▲MZ세대가 회사를 이끄는 주축으로 떠오르고 있어서(37.6%) ▲MZ세대 직원이 많이 필요한 업직종이어서(27.1%) ▲MZ세대의 지원율이 낮고, 퇴사율이 높아서(23.3%) ▲채용, 업무 방식이 낡아 개선이 필요해서(12%) 등의 순이었다.

 

이들 기업이 구체적으로 시행하는 방법으로는 '자유롭고 편한 분위기의 근무 환경 조성'(51.9%,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근소한 차이로 '워라밸을 지키는 업무 방식'(48.9%)이 뒤를 이었다. 이어 ▲개인 취향을 존중하는 기업 문화 형성(39.8%) ▲시차출퇴근/유연근무제 도입(28.6%) ▲MZ세대 눈높이 맞춘 복리후생(23.3%) ▲투명하고 공정한 성과 평가와 보상(22.6%) ▲개인 역량 및 커리어 개발 적극 지원(18%) 등을 꼽았다.

 

이런 활동들로 인해 42.1%(복수응답)는 MZ세대 인재 유입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고 밝혔으며, 39.1%는 장기근속에도 영향이 있었다고 답했다.

 

이때, 인재 유입에 긍정적 영향이 있다는 기업(56개사)들은 이전에 비해 입사 지원이 1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장기 근속에 영향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52개사)들의 경우, 이전에 비해 퇴사율이 약 8.7%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들은 MZ세대 직원을 관리하는 데 어려움도 겪고 잇다고 답했다. 전체 기업의 50.6%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으며, 구체적인 어려움으로는 '개인주의가 강하고 조직보다 개인을 우선시함'(67.9%, 복수응답)을 첫번째로 꼽았다. 이어서 ▲퇴사/이직을 과감하게 실행함(58.4%) ▲불이익에 민감함(38%) ▲강한 성과보상을 요구함(24.1%) ▲언행이 거침없음(21.2%) 등을 들었다.

 

이렇듯 MZ세대 직원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단연 '사고, 행동 방식이 너무 달라서'(65.7%, 복수응답)였다. 이밖에 ▲기존의 인사 제도로는 관리가 어려워서(33.6%) ▲조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져서(22.6%) ▲이전 세대와의 마찰이 심해서(21.9%) 등이 있었다.

 

반면, 어려움을 겪지 않는 기업(134개사)들은 그 이유로 ▲조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서(36.6%, 복수응답) ▲조직 구성원이 대부분 젊어서(29.9%) ▲MZ세대 특성이 강하지 않은 직원을 주로 뽑아서(18.7%) ▲업직종 특성상 MZ 세대가 특징을 잘 드러낼 수 없어서(18.7%) ▲MZ 세대에 맞춘 인사 제도, 문화가 있어서(12.7%) 등을 꼽았다.

 

한편, 전체 응답 기업의 절반(46.5%, 복수응답) 가량은 MZ세대 인재가 회사 생활에서 가장 원하는 것으로 '워라밸, 개인시간 보장'을 꼽았다. 이외에 ▲많은 연봉과 보너스(15.1%) ▲명확한 업무 디렉션과 결과에 대한 자세한 피드백(12.5%) ▲자유롭고 수평적인 문화(10.3%) ▲개인의 개성과 취향 인정(7%)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