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아웃캠퍼스 활동' 하는 대학생 4명 중 1명뿐…코로나19 여파로 감소

대학생 아웃캠퍼스 활동 경험 55.5%…4년 전 대비 12.7% 감소

 

알바몬과 잡코리아가 실시한 설문에 참여한 대학생 중 55.5%가 '아웃캠퍼스 활동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이들 중 현재 아웃캠퍼스 활동을 하고 있다는 대학생은 25.1%로 4명 중 1명 정도 수준에 그쳤다./잡코리아 제공

학교를 벗어나 외부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는 이른바 '아웃캠퍼스 활동'을 하고 있는 대학생들이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대학생활 이외의 활동을 하는 학생은 4명 중 1명에 그쳤다.

 

알바몬(대표이사 윤병준)이 잡코리아와 함께 4년제 대학생 902명을 대상으로 '아웃캠퍼스 활동 현황'에 대해 조사를 진행한 결과, 설문에 참여한 대학생 중 55.5%가 '아웃캠퍼스 활동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2017년 동일조사 당시 68.2%에 비해 12.7%포인트 감소한 수준이다.

 

특히 이들 중 현재 아웃캠퍼스 활동을 하고 있다는 대학생은 25.1%로 4명 중 1명 정도 수준에 그쳤다.

 

학년별로는 3학년 학생들의 경우 30.1%가 현재 아웃캠퍼스 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2학년(28.4%) ▲1학년(22.9%) ▲4학년(18.7%) 순이었다. 대학 소재지 별로는 ▲서울·경기지역 소재 대학생들이 26.3%로 지방소재 대학생 23.5%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생들이 현재 아웃캠퍼스 활동을 하고 있지 않는 이유로는(*복수응답)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대외활동이 어려워졌기 때문'이 응답률 39.4%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관련 정보나 지식이 없어서(27.9%) ▲학교에서 하는 활동과 수업만으로도 충분해서(22.2%) ▲시간, 금전적인 여유가 없어서(21.2%) ▲관심이 없어서(20.9%) ▲아직 시기가 아니라서(19.5%) 등의 이유가 있었다.

 

반면, 코로나19 상황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고 있는 아웃캠퍼스 활동으로는(*복수응답) '아르바이트'가 응답률 82.3%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봉사활동(41.2%) ▲기업 대외활동 프로그램(23.5%) ▲강연회 및 설명회 참석(22.1%) ▲공모전(21.2%) ▲취업상담 및 과외(13.3%) 등의 순이었다.

 

이 외에도 ▲학외 연합동아리(9.3%) ▲스펙 관련 온라인 동호회 및 카페활동(8.8%) ▲인턴십(6.2%) ▲교환학생 프로그램(6.2%) 등의 소수 활동도 있었다.

 

이들 대학생들이 아웃캠퍼스 활동을 하는 이유로는(*복수응답) '다양한 경험을 하고 싶어서'가 응답률 70.7%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취업스펙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27.7%) ▲학교 밖의 다양한 인맥을 형성하고 싶어서(27.1%) ▲금전적 혜택을 받으려고(21.8%) ▲아무것도 안 하면 뒤쳐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15.6%) 등의 이유가 있었다.

 

아웃캠퍼스 활동을 선택하는 기준으로는(*복수응답) '평소 관심 있고 흥미 있는 분야에서 선택한다'는 응답이 51.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활동에 따른 혜택'도 응답률 40.3%로 아웃캠퍼스 활동을 선택하는 기준에 비교적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금전적 혜택 및 수입(25.5%) ▲프로그램을 주최하는 기업 또는 브랜드 인지도(18.4%) ▲활동 범위(16.4%) ▲지인 추천(12.2%) 등을 고려해 선택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