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아주대, 'THE 세계 신흥대학 순위 '국내 TOP 5

영국 대학평가기관 THE, 개교 50주년 미만 전 세계 대학 475곳 평가

아주대, 카이스트·포항공대·유니스트·지스트와 '한국 대표 젊은 대학'

 

아주대가 영국 대학평가기관 THE가 개교 50주년 미만의 전 세계 대학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THE 세계 신흥대학 순위'에서 세계 순위 152위, 국내 순위 5위를 기록했다. 사진은 아주대 선구자상./아주대 제공

아주대학교(총장 박형주)가 'THE 세계 신흥대학 순위(THE Young University Rankings)'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항공과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UNIST),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함께 국내 톱 5를 형성했다.

 

아주대는 영국 대학평가기관 THE(Times Higher Education)가 개교 50주년 미만의 전 세계 대학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THE 세계 신흥대학 순위'에서 세계 순위 152위, 국내 순위 5위를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아주대의 지난해 세계 신흥대학 순위는 201~250위로, 올해는 전년 대비 50계단 이상 상승했다.

 

영국 대학평가기관 THE(Times Higher Education)는 개교 50주년 미만의 전 세계 475개 대학을 대상으로 한 'THE 세계 신흥대학 순위(THE Young University Rankings)'를 지난 23일 발표했다. THE는 지난 2010년부터 신흥대학 순위를 발표해오고 있으며 ▲교육 여건(30%) ▲연구 실적(30%) ▲논문 피인용(30%) ▲국제화(7.5%) ▲산학협력(2.5%)을 지표로 평가한다.

 

아주대는 그동안 우수 교원 확보와 연구력 강화를 위해 다각도의 노력을 펼쳐왔다. 질 평가 기반의 우수 논문상을 신설하고, 신임 교원에게 주어지는 정착 연구비를 확대 개편했다.

 

아주대에 새로 임용된 신진 연구자들의 경우 이공계는 최대 1억원, 인문사회계는 최대 5000만원의 정착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연구비 지원부터 관련 결과물 제출까지 주어지는 기간도 기존 3년에서 4년으로 늘렸다. 연구력이 왕성한 신진 연구자들이 보다 도전적인 목표를 갖고 충실하게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다. 박사 후 연구원의 연구비를 지원하고, 해외 학술대회 참가를 통해 우수 연구자 초빙에 적극 나선 것도 연구력 강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러한 노력이 성과로 이어져 아주대는 지난 해 기술이전수익 33억5000만원을 기록했다. 기술이전수익은 대학의 대표적 산학협력 수익이자 연구력 지표로, 아주대는 기술이전 규모에서 5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기술이전수익은 대학 소속 연구진의 연구개발 성과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이 해당 지식재산권을 획득하며 대학에 지불하는 금액을 말한다.

 

아주대는 최근 글로벌 대학 평가 기관이 발표한 세계 대학 순위에서도 연이어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6월 초 발표된 올해 'QS 세계대학평가'에서 3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531-540위 그룹에 포함됐고, '2021 THE 아시아 대학평가(THE Asia University Rankings 2021)'에서는 지난 해에 비해 49계단 점프한 130위에 올랐다.

 

아주대 관계자는 "세계 신흥대학 순위 평가에 참여하는 대학이 매년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순위가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며 "교육 여건과 연구, 논문 피인용, 국제화, 산학협력 모든 평가항목에서 점수가 올라 아주대의 순위 상승을 견인했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발표된 THE 신흥대학 랭킹에서는 싱가포르의 난양이공대학이 글로벌 신흥대학 1위를 차지했고, 프랑스 파리과학인문학대학교(PSL University)와 홍콩과기대가 각각 2, 3위에 올랐다. 국내 대학 중에는 KAIST가 전체 4위, 포항공대와 UNIST가 각각 8위,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