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저명 학술지에 연구 성과 연속 게재
BK21 4단계 사업 통해 우수 인재 양성
다양한 산업 상용화 가능 기술 개발
순천향대학교(총장 김승우)는 권계시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BK21(두뇌한국21) 4단계 사업을 통한 활발한 산학협력 실용 연구를 활성화한 결과, 최근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지 3곳에 논문을 연속 게재하며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고 12일 밝혔다.
권 교수 연구팀은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캠퍼스(UCSD)와 공동 연구를 통해 전기 스프레이 문제점인 기판 위의 정전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균일한 코팅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 논문 '비전도성 기판에서 고효율 전기 스프레이 코팅 방법: 초발수 코팅의 응용'(High-efficiency electrospray deposition method for non-conductive substrates: Applications of superhydrophobic coatings)은 미국 화학학회지인 응용 재료 및 인터페이스 저널(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에 발표됐다.
연구를 통해 얻은 스프레이 기술은 방수 코팅, 방지문 코팅, 표면의 항바이러스 처리 등 다양한 산업에서 응용 가능하며, 현재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 이전 과제를 통해 상용화 과제를 추가로 진행하고 있다.
과제는 BK21(두뇌한국21) 4단계 사업, 산업부 지원 차세대 디스플레이 공정장비소재 전문 인력양성사업(참여학생 김세현)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또한 권 교수는 삼성전자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산학협력 공동 연구를 수행해 눈에 보이지 않는 전도성 도선을 직접 프린팅 방식을 사용해 투명 터치스크린 센서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삼성전자 김성준 박사와 순천향대 박사과정 풍탄후이(Thanh Huy Phung) 씨와 함께 공동 제1저자로 첨단물질기술(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에 게재해 저널 표지로 선정됐다.
스플레이 기판에서 양면의 전극을 이어줄 수 있는 3차원 표면 프린팅 기술도 개발해 비아홀을 이용하기 어려운 유리 기판 등에서 양면의 전극을 직접 프린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기존의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는 성과도 거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다룬 '기판의 마주 보는 면에 있는 전극을 이어주는 3차원 표면 프린팅 방법'(Three-dimensional surface printing method for interconnecting electrodes on opposite sides of substrates)은 지도 학생인 박사과정 라만(Md Khalilur Rahman) 씨가 제1저자로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권계시 교수는 "프린팅은 기존에 사진 또는 문서 인쇄용으로만 사용이 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잉크가 개발되고 이를 활용해 회로 등을 손쉽게 구현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며 "확장 분야가 다양해짐에 따라 재료 분야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응용에 맞는 프린팅 방법, 새로운 프린팅 메카니즘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어 이에 관한 연구 방향을 정하였고, 실용연구를 통해 관련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단계까지 도달하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