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심가용 숭실대 교수, 암 면역세포 활성화 논문으로 BRIC ‘한빛사’ 선정

미국화학회 나노분야 학술지 ‘ACS Nano’에 논문 게재
유전자 편집으로 암 면역세포 활성화 시켜 암 전이 방지

심가용 숭실대 자연과학대학 의생명시스템학부 교수(왼쪽), 논문 연구의 개요도(오른쪽)./숭실대 제공

숭실대학교(총장 장범식)는 심가용 자연과학대학 의생명시스템학부 교수가 유전자 편집을 통한 종양 전이 억제 관련 논문으로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가 주관하는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한빛사)'에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심가용 교수는 최근 미국화학회(ACS) 나노분야 저명 학술지인 'ACS Nano(피인용지수 15.881)'에 '유전자편집 매개 종양미세환경 재구성을 통한 종양 전이의 억제 (Genome-Editing-Mediated Restructuring of Tumor Immune Microenvironment for Prevention of Metastasis)'논문을 게재했다.

 

오유경 서울대 약학대학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연구한 해당 논문에서는 종양의 면역회피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TGF-β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형질변환 성장인자)'를 유전자 편집으로 억제하는 것에 성공했다.

 

연구팀은 202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CRISPR/Cas9) 기술'을 이용해 암세포가 더 이상 TGF-β를 생성하지 못하도록 유전자 편집을 했고 그에 따라 암세포 주변의 면역세포가 활성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여기에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더욱 강력하게 공격할 수 있도록 근적외선 빛을 조사하면 열을 발생시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광치료 기술'을 접목하여 원발성 종양세포는 물론 암전이까지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심교수는 "해당 나노 의약은 유전자 가위를 암세포로 전달해 유전자치료는 물론, 광치료까지 동시에 가능한 다기능성 약물전달플랫폼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소감을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