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청와대

文 중동 순방 성과는…'수소경제·미래산업·공급망' 협력

北 도발·오미크론 변이 등 국내 현안 두고 순방…野 '외유' 비판도

문재인 대통령이 중동 3개국(아랍에미리트·사우디아라비아·이집트) 순방을 통해 '수소경제·미래산업·공급망' 분야에서 성과를 거두기 위해 노력했다. 미래 먹거리인 탄소중립 전략 핵심 과제로 수소경제가 떠올랐고, 중요 물자 공급망 문제도 해결해야하는 만큼 문 대통령이 경제외교 성과에 집중한 셈이다. 사진은 문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이집트 카이로 대통령궁에서 열린 압델 파타 엘시시 대통령과의 공동언론발표에서 발언하는 모습.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중동 3개국(아랍에미리트·사우디아라비아·이집트) 순방을 마치고 21일(이하 현지시간) 오후 이집트 카이로에서 귀국길에 오른다.

 

순방 기간 문 대통령은 '수소경제·미래산업·공급망' 분야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노력했다. 미래 먹거리인 탄소중립 전략 핵심 과제로 수소경제가 떠올랐고, 중요 물자 공급망 문제도 해결해야 하는 만큼 문 대통령이 경제외교 성과에 집중한 셈이다.

 

다만 북한 무력도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종 확산 등 국내 현안을 두고 문 대통령이 6박 8일간 순방에 나선 데 따른 비판 여론은 잠재우지는 못했다. 야권은 문 대통령 중동 순방을 겨냥해 '외유'라고 비판하고, 청와대가 "억지 비판"이라며 반발하는 상황이 이어졌다.

 

문 대통령은 아랍에미리트(UAE) 공식 실무방문 기간 수소경제 및 관련 공급망 협력을 위해 노력했다. 순방 첫 일정인 '한-UAE 수소협력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문 대통령은 "UAE와 한국의 수소 협력으로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앞당기게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라운드테이블에서 한국·UAE 기업들은 수소 생산-운송·저장-활용 등 산업 전 주기에 걸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국무역보험공사와 에티하드 신용보험공사는 수소산업 프로젝트 관련 금융지원 협력 확대 MOU를 체결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1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UAE 수소협력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계기에 한국무역보험공사와 에티하드 신용보험공사가 수소산업 프로젝트 관련 금융지원 협력 확대 MOU를 체결했다. 사진은 문 대통령이 라운드테이블에서 발언하는 모습. /뉴시스

문 대통령 UAE 순방 계기에 방산 분야 성과도 있었다. '한국형 패트리엇'으로 불리는 탄도탄 요격미사일 체계 '천궁-Ⅱ'(M-SAM2·중거리 지대공미사일) UAE 수출을 확정했다. 단일 무기체계 계약으로 최대인 35억 달러(약 4조1000억원) 규모다.

 

사우디아라비아 공식방문 일정 가운데 문 대통령은 '수소경제' 협력 성과를 위해 노력했다. 문 대통령은 18일 사우디 수도 리야드 야마마 궁에서 모하메드 왕세자와 회담을 갖고 인프라(에너지, 건설 플랜트), 수소에너지, 원전·방산, 지식재산, 정밀의료 등 미래 유망 분야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한 호텔에서 18일(현지시간) 열린 한-사우디 스마트 혁신포럼 계기에 ▲제조 ▲인프라 ▲디지털 ▲보건의료 ▲건설 협력 ▲에너지 등 분야별 14건의 수출·합작법인·파트너십·협력 등 주요 문건을 체결했다. 사진은 문 대통령이 포럼에서 축사를 하는 모습. /뉴시스

회담에서 양 정상은 수소경제 관련 협력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문 대통령은 알-루마얀 사우디 국부펀드(PIF) 총재이자 아람코 회장과 접견한 가운데 '사우디 국부펀드, 아람코가 한국 기업과 협력을 지속 확대해 줄 것'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한 '한-사우디 스마트 혁신성장 포럼'에서는 ▲제조 ▲인프라 ▲디지털 ▲보건의료 ▲건설 협력 ▲에너지 등 분야별 14건에 이르는 주요 문건을 체결했다. 사우디 순방 기간 한국 정부와 걸프협력회의(GCC) 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재개도 합의했다.

 

중동 순방 마지막 일정인 이집트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압델 파타 알 시시 이집트 대통령과 단독 및 확대 정상회담을 갖고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 협력 강화'에 합의했다. 사진은 이집트 카이로 대통령궁에서 열린 확대 정상회담 가운데 문 대통령과 알 시시 대통령 모습. /뉴시스

중동 순방 마지막 일정인 이집트에서 문 대통령은 20일 압델 파타 알 시시 이집트 대통령과 단독 및 확대 정상회담을 갖고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 협력 강화'에 합의했다.

 

지속가능개발 파트너십 강화 차원에서 한국은 이집트에 10억 달러 규모의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한도를 새롭게 설정했다. 이는 회담 이후 '2022∼2026 EDCF 차관에 대한 양해각서' 체결로 이어졌다.

 

한국 정부가 아프리카 대륙 최초로 이집트와 FTA 체결 발판 마련을 위한 양국 '무역경제 파트너십 공동연구 MOU(양해각서)' 체결도 이뤄졌다. KOICA 이집트 간 전자조달시스템 개선사업 교환각서, 이집트 룩소르-하이댐 현대화 사업 시행 약정서 체결도 정상회담 계기에 이뤄졌다.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이집트 카이로의 한 호텔에서 20일(현지시간) 열린 한-이집트 미래·그린산업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계기에 ▲이집트 전기 마이크로버스 개발협력 의향서 ▲이집트 소형 전기 모빌리티 개발협력 의향서 ▲이집트 담수화 개발협력 양해각서 ▲한-이집트 무역·투자 협력 양해각서 ▲한-이집트 무역보험 협력 양해각서 등이 체결됐다. 사진은 문 대통령이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발언하는 모습. /뉴시스

문 대통령이 참석한 '한-이집트 미래 그린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이집트 전기 마이크로버스 개발협력 의향서 ▲이집트 소형 전기 모빌리티 개발협력 의향서 ▲이집트 담수화 개발협력 양해각서 ▲한-이집트 무역·투자 협력 양해각서 ▲한-이집트 무역보험 협력 양해각서가 체결됐다.

 

한편 문 대통령은 순방 기간 이어진 북한 무력도발에 "국가안보실장 중심으로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에 만전을 기해 달라"는 당부도 했다. 올해 초부터 북한이 네 차례에 걸쳐 미사일 발사 시험을 강행한 만큼 문 대통령은 17일 재차 '안정적인 한반도 상황 관리'에 대해 지시한 것이다.

 

다만 연이은 북한 무력도발에 문 대통령이 추진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추진은 어려워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문 대통령은 20일 이집트 유력 신문인 '알 아흐람' 서면 인터뷰에서 "현 상황을 보았을 때 평화구축은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하기도 했다.

 

오미크론 변이 우세종화를 두고도 문 대통령은 이집트 공식방문 기간인 20일 정부에 "그동안 준비해 온 오미크론 대응체제로 신속히 전환하고 총리 중심으로 범부처가 총력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