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업계가 연초부터 견조한 수주 실적을 이어가며 훈풍을 맞고 있지만 원자재 가격 인상과 인력난으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조선 업계는 친환경 선박의 교체 수요 증가와 LNG선박 가격 인상으로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포스코,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사들이 철강재 가격 인상을 준비하고 있어 수익성 확대는 예상보다 더딜것으로 전망된다.
◆조선업계 수주 빅2 이끌어…선박 가격 큰폭 인상
10일 업계에 따르면 조선업계가 지난해 폭풍 수주를 기록한데 이어 올해도 연초부터 친환경 선박을 중심으로 수주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올해는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이 수주를 견인하고 있다.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들어 현재까지 LNG 운반선 6척, 컨테이너선 26척, 석유화학제품운반선(PC선) 2척, 전기추진 여객선(RO-PAX)선 2척 등 총 36척, 41억6000만달러를 수주해 연간 수주 목표(174억4천만달러)의 24% 달성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에 대한 수요가 이어진 영향이다. LNG는 기존 선박유와 비교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0~30%가량 적다.
대우조선해양도 올 들어 LNG 운반선 5척, 컨테이너선 6척, 해양플랜트 1기의 건조계약(총 27억2000억 달러)의 수주 기록을 세웠다. 한 달여 만에 지난해 5월(약 27억4000억 달러)까지 수주했던 물량을 확보한 것이다.
친환경 선박 수주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오는 2023년부터 이미 운항 중인 선박에도 온실가스 배출 규제를 적용할 방침이기 때문이다. 결국 선주사들 입장에선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중유(벙커C유)로 움직이던 노후 선박을 최신 친환경 선박으로 교체해야한다. 2030년까지 선령 25년 이상에 해당하는 노후 선박은 118척에 달해 지속적인 LNG선 교체 수요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지난해 LNG선박 가격도 인상되며 실적 개선에 기대감을 확대하고 있다. 1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지난달보다 소폭 상승한 154.26포인트를 기록하며 1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선종별 선가 추이를 살펴보면 초대형 유조선(VLCC)은 1억 1200만 달러 → 1억 1400만 달러, S-max 유조선 7600만 달러 → 7600만 달러, A-max 유조선 5900만 달러 → 6000만 달러, 컨테이너선(1만3000~1만4000TEU) 1억 4800만 달러 → 1억 4850만 달러, LNG선(17만4000m³)은 2억 1000만 달러 → 2억 1400만 달러로 S-max 유조선을 제외한 모든 선종에 걸쳐 상승했다.
◆인력난과 원자재 가격 인상 발목
국내 조선업계는 수익성 개선을 위해 인력난과 원자재 가격이라는 산을 넘어야 한다.
조선업계와 철강업계는 올해 상반기 '조선용 후판'(선박 건조에 쓰이는 두꺼운 강판) 가격을 놓고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 후판 가격 인상 등으로 손실을 입은 조선업계는 가격 인하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철강업계는 최소한 동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후판은 6㎜ 이상 두께의 열연강판으로 선박 건조 비용의 약 20%를 차지해 조선업계 수익성과 직결된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후판가격이 톤당 1만원만 올라도 초대형컨테이너선의 원가는 약 5억원 상승한다. 특히 지난해 상·하반기에 후판 가격이 각각 톤당 10만원, 40만원가량 오르면서 2020년말 60만원 정도였던 후판 가격은 현재 110만원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이같은 대폭의 가격 인상을 들어 조선업계는 더 이상의 인상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새해 초부터 7조원 규모의 대규모 수주 성과를 올리고 있는데 후판 가격이 또다시 오른다면 비용 증가에 대한 부담을 받을 수밖에 없다.
문제는 올해 협상을 앞두고 국제 철광석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철강업계는 적어도 지난해 가격을 유지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여기에 인력난도 문제다. 조선업계가 오랜기간 수주 절벽의 불황을 맞으며 대규모 인력 감축을 진행하면서 숙련공들이 대거 이탈했다. 또한 언제 불어닥칠지 모르는 위기에 신규 인력도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지난해부터 꾸준히 수주 물량이 늘어나면서 올해 조선사와 협력업체를 포함한 생산 분야 인력은 최대 8000여명이 필요한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특히 현장 경험이 없는 초보자를 숙련공으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상당기간 시간이 필요하다. 업계에서는 용접과 도장 분야에서 1년 이상 경험을 쌓으면 C급 기능공 자격이 주어진다. A급 기능공이 되면서 3년 이상 현장에서 경험을 축척해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조선업계가 오랜기간 불황을 겪으면서 숙련공들이 현장을 떠났다"며 "한차례 구조조정을 경험했기 때문에 채용 공고를 내도 지원하는 인력은 턱업이 부족한 상태다"고 설명했다. 이어 "2030대 젊은층의 취업난이 심각하다고 하지만 조선업계는 젊은 인력을 찾아보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