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박승덕의 냉정과 열정사이] 대선과 회색코뿔소

#. '대통령 선거가 50년 우정도 두동강 내버릴 수 있는 무서운 힘을 가지고 있음을 새삼 느껴 봅니다. 3월9일이 빨리 지나갔음 좋겠습니다'. 며칠 전 페이스북에 지인이 올린 글이다. 직접 묻지 않았다. 짐작은 간다. 서로 지지하는 후보가 달랐을 것이다. 그리고 언쟁이 벌어졌을 터. 장단점이 오가고 이래서 된다, 안된다며 옥신각신. 코로나19로 사적모임도 줄어든 요즘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모임에선 대선 얘기가 안주로 자주 등장한다. 뜨거운 감자다. 술까지 곁들여지면 고성이 오가고 주장이 엇갈린다. 결말이 좋지 않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대선 얘기를 꺼내지 않는다. 생각이 다르다는 걸 확인하는 순간 맘이 무거워지기 때문이다. 차기 대통령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누가 될 것 같냐고 물어 온다. 궁금하지 않다고 말하기엔 답변에 너무 정성이 없다. 충청도 사람인 것이 다행이다. '글쎄요'라고 답한다.

 

#. '작은일도 무시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작은 일에도 최선을 다하면 정성스럽게 된다/정성스럽게 되면 겉에 배어나오고/배어나오면 이내 밝아지고/밝아지면 남을 감동시키고/남을 감동시키면 이내 변하게되고/변하면 생육된다/그러니 오직 세상에서/지극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만이/나와 세상을 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영화 '역린'에 나오는 중용 23장이다. 차기 지도자를 뽑는 선거가 보름도 남지 않았다. 대선 후보 모두 작은 일에도 정성을 다하고 있는 지 묻고 싶다. 최근 여야 대선후보 4명이 맞붙은 세 번째 TV토론은 한마디로 실망스러웠다. '코로나 시대 경제 대책'과 '차기 정부 경제정책 방향'이 주요 주제였음에도 벗어난 질문과 답변이 많았다. 삐지고, 무시하고, 무지하고, 고성과 딴청, 동문서답…. 품격있는 토론 자체를 기대한 것이 잘못이었다. 감동이 없었다. 각 당의 토론전략이겠지만 후보의 의지와 정성이 필요하다. 네거티브보다 리더십과 비전(정책)을 보여주고 감동을 줘야 한다. 그래야 표심이 움직인다. 누구에게 투표할 지 마음 속에는 이미 정해져 있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국민들이 내편네편으로 극명하게 갈라져 있는 현실이다. 한 명만 살아남는 '오징어 게임'. 누가 되든 희망은 크지 않다. 게임이 끝나면 또 두 편으로 갈라지지 않길 바랄뿐.

 

#. 최근 한국은행이 내놓은 가계부채 현황을 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1862조1000억원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래 가장 많았다. 작년 한해만 134조1000억원의 가계빚이 불어났다. 지난 2020년(127조3000억원)보다 증가액이 많다. 최대 기록인 2016년 139조40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다.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은 대출)'과 '빚투(빚내서 투자)'가 많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려스러운 것은 가계빚에서 2030세대의 비중이 높다는 것이다. 한은 자료에 따르면 2030세대의 가계대출은 작년 6월 말 기준 458조원으로 전체 가계대출(1705조원)의 27%를 차지했다. 실제로 작년에 서울 아파트의 41.7%를 20~30대가 샀다는 한국부동산원의 통계도 있다. 재테크에 열심인 요즘 젊은이들은 주식시장 기업공개(IPO) 공모주에 청약하기 위해 대출을 받는다. 자본주의 시장에서 투자와 재테크는 자연스런 현상이다. 하지만 지나치면 부족함만 못하다. 금리인상, 차기 대통령 등 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만 간과하는 위험을 의미하는 '회색 코뿔소'가 오고 있다. 정성을 다해 대비해야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파이낸스&마켓부장 bluesky3@metroseoul.co.kr

 

박승덕 부장.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