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부동산 거래절벽…중개업소 운영난 호소

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 1071건…전년 동월比 81.4%↓
거래절벽에 반값수수료 정책까지 중개업자 부담 가중
중개플랫폼 사세 확장…중개업소 양도 매물 급증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일대 공인중개업소 밀집 지역이 한산하다./메트로신문

"거래 자체가 없어요. 월세 부담이 크네요."

 

봄 이사철을 앞뒀지만 부동산 중개업자들이 운영난을 호소하고 있다. 부동산 규제로 주택 거래량이 줄면서 중개영업이 어려워져서다. 더욱이 중개수수료 인하 정책에 중개 플랫폼 기업들의 사세 확장까지 더해지면서 부동산 중개업계의 '보릿고개'는 장기화될 전망이다.

 

1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 2월 1일부터 28일까지 사이트 내 '중개사무소 매매(양도)' 페이지에 등록된 매물은 1142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580건이나 지난해 12월 488건의 한 달간 등록건수 대비 두 배가량 증가한 것.

 

개업 건수 역시 8년 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국 공인중개사 개업은 모두 1만6806건이다. 2013년 1만5816건 이후 최저치다. 2021년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합격자가 2만6913명으로 전년(1만6554명)보다 1만명가량 늘었음에도 외려 개업 건수는 줄어든 셈이다.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부동산 중개업이 타격을 입은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올해부터 분양 중도금과 잔금 대출에도 강화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기준을 적용했다. 총 대출액이 2억원이 넘을 경우 DSR 규제를 40%로 강화한 것. 연소득 5000만원인 사람이 규제지역에 속한 아파트를 구입할 경우 2억40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했지만 올해부턴 1억5000만원까지만 받을 수 있다. 사실상 대출을 받아 집을 사지 말라는 것과 다르지 않다.

 

실제 부동산 시장은 거래절벽을 넘어 거래실종 상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부동산거래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293건에 그쳤다. 특히 금천구·용산구 2건, 성동구·중구 3건, 광진구 4건 등 9개 구에서 한 자릿수 거래량을 기록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도 1071건으로 전년 동월 5772건 대비 81.4% 감소했다.

 

중개수수료 인하 정책도 악재다. 지난해 10월부터 부동산 중개 보수 상한이 최대 절반 가까지 낮아지는 '반값 복비' 정책이 시행됐다. 10억원 주택을 매매할 경우 중개 수수료 상한이 기존 9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같은 금액의 임대차 거래는 8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내려갔다.

 

거래절벽에 수수료 인하까지 더해지면서 중개업자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성동구 A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최근 몇 달간 주택 거래 자체가 없다고 보면 된다"며 "월세, 직원 월급, 공과금 등 당장 나가야 할 돈이 산더미인데 빚내서 줘야 할 판"이라고 토로했다.

 

여기에 온라인 기반 부동산 중개플랫폼 기업들이 '반값 수수료'를 내세우며 사세를 확장하는 것도 중개업자에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부동산 중개플랫폼 기업 집토스의 지난해 거래액은 8700억원을 집계됐다. 서비스를 처음 시작한 2016년부터 4년간 누적 거래금 8000억원을 한 해만에 넘어선 것. 계약 건수도 전년 대비 1.8배 이상 늘었다.

 

반값 수수료를 내세운 다윈중개 역시 지난해 8월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한 후 반 년 만에 누적매물과 회원수가 각각 3.5배, 5배 증가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최근 온라인 기반으로 반값 중개 수수료를 내세우는 플랫폼 기업들이 사세를 확장하고 있는데 중개 보수의 하락은 질 낮은 중개 서비스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