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시세

지방 미분양 물량 폭증…지자체 “규제 풀어달라”

전국 미분양 주택 2만1727가구…이중 93.9%가 지방
대구·경북 미분양 주택 8995가구로 전체의 41.4%
대규모 주택 물량 공급 앞둬 과잉 공급 우려
지자체 "조정대상지역 해제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국토교통부

분양 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주택이 늘고 있어서다. 여기에 대규모 주택 물량 공급이 예정돼 있어 공급 과잉이 우려된다. 각 지자체는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2만1727가구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22.7%(4017가구) 증가했다. 이 가운데 지방은 2만402가구로 전체 미분양의 93.9%를 차지했다. 지방 미분양은 지난해 11월 1만2622가구, 12월 1만6201가구를 기록하며 3개월째 오름세다. 지역별로는 대구 86%(1701가구), 경남 66.3%(1245가구), 충남 36.7%(371가구) 순이다.

 

특히 대구·경북지역 분양 경기는 침체의 늪에 빠졌다. 이들 지역의 미분양 주택은 모두 8995가구로 전국 미분양 주택의 41.4%에 달한다. 문제는 대구·경북지역에 대규모 입주 아파트가 나온다는 점이다. 최근 2~3년 사이에 진행된 신규 분양과 정비사업 추진 사업장의 입주가 본격 진행될 예정이다.

 

부동산정보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대구의 아파트 입주 물량은 올해 1만9812가구다. 이미 적정수요(1만1919가구)를 넘어선 것. 내년에는 역대 최대 물량인 3만2819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경북 역시 올해 1만758가구와 내년 2만1018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시장에선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미분양 단지가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올해부터 아파트 중도금과 잔금 대출이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에 포함되는 등 대출 규제가 강화됐다. 또 분양가가 9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보증하는 중도금 집단 대출이 불가능하다.

 

여기에 수도권 쏠림 현상이 더해지면서 미분양 사태를 키웠다는 분석이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본부장은 "대출 규제 등으로 부동산 시장이 심리적으로 위축돼 있다"며 "그래도 수도권은 3기 신도시 등 호재가 있어 수도권으로 수요가 몰릴 수밖에 없다. 지방 등 외곽은 수요 증가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지자체들은 미분양 증가에 따른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총력전에 나섰다. 대구시는 대구 전 지역에 내려진 '조정대상지역 해제'를 중앙부처에 지속적으로 건의할 방침이다.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되면 상대적으로 부동산 규제에서 자유로워진다.

 

대구시 관계자는 "그간 분양 물량 입주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기존주택 매매시장 침체 등 변동성이 예상된다"며 "대구 모든 지역에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2020년 12월 18일)된 이후 주택시장이 경직되고 있는데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경북도도 지난해 6월부터 4차례 국토부 담당부서를 방문해 포항 남구와 경산의 조정대상지역 해제를 건의한 바 있다. 울산, 광주, 광양 등 여러 지역에서도 해제를 요청할 계획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