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부산연구원 "부산 기업, 라이브 커머스 지원 절실"

부산연구원이 '부산의 비대면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소비분야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로고/부산연구원

부산 기업 및 소상공인은 온라인·홈쇼핑 판매 강화를 위한 부산시의 과제로 라이브커머스 지원을 가장 많이 꼽았다.

 

부산연구원은 17일 이와 같은 내용의 '부산의 비대면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소비분야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오프라인 구매는 크게 감소한 반면 온라인 급증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중심 소비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전환을 촉진하는 가운데 부산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판매, 마케팅 경쟁력 강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부산연구원이 부산지역 기업 관계자·소상공인 13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온라인·홈쇼핑 판매 강화를 위해 부산시가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는 '기업·소상공인의 라이브커머스 지원'(29.8%), '택배비 지원'(13.05), '기업·소상공인의 오픈마켓 입점 지원'(12.2%) 순으로 나타났다.

 

라이브커머스 시장 환경 적응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는 '전문 판매자(인플루언스) 지원 통한 상품 판매'(40.5%)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접근이 편리한 라이브커머스 촬영 공간 확보 지원'(24.4%), '자체 제작한 상품 판매 영상에 대한 컨설팅 지원'(12.2%) 순으로 나타났다.

 

운영을 위해 관심을 갖고 있는 채널은 '라이브커머스(라이브방송)'(27.5%), '오픈마켓(네이버 스마트 스토어)'(16.0%), '단독 온라인 몰'(15.3%) 순으로 나타났다.

 

부산의 온라인 판매 채널 운영 방향에 대해서는 부산만의 단독 몰 운영을 지양하고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입점'(29.8%)을 가장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 및 정부가 운영 중인 공공 몰 입점 계획 여부에 대해서는 '입점 계획 있음'(47.3%), '현재 입점한 상태'(27.5%), '입점 계획 없음'(25.2%)으로 나타났다. 공공 몰 입점 계획이 있거나 입점을 결정한 이유는 '부산시 및 정부의 지속적 판매 촉진을 위한 지원책을 기대해서'(49.0%)를 가장 많이 꼽았다.

 

보고서는 부산 전자상거래·라이브커머스 운영 전략으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도입·응용을 통한 '공급자(판매자) 측면', '수요자(고객) 측면', '플랫폼 서비스 측면' 의 추진 과제를 제시했다.

 

공급자 측면은 ▲최저가(가격경쟁력) ▲차별화(이색)상품과 서비스 ▲묶음 가격 전략 ▲④디지털 거점시설 구축, 수요자 측면은 ▲온라인 온리 ▲무료 쿠폰 패키지 이벤트 ▲디지털 시민 지원단 ▲구독경제 및 내고장 상품 애용 운동, 플랫폼 서비스 측면은 ▲대기업과 협업(파트너사) ▲무인점포로 전환 및 확대 ▲비대면 격차(소외층) 해소 ▲해외 플랫폼 출점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