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현장르포] 대통령 집무실 이전…청와대 주변 개발 기대↑

尹 공약에 따라 청와대 시민의 품으로 돌아갈 예정
경호 문제 등에 따른 개발 규제 풀릴 것으로 전망
낙후지역으로 전락한 주민들 개발 기대감 부풀어
전문가들 "문화재 보존 등의 이유로 개발 어려워"

지난 26일 서울 인왕산 등산로에서 내려다 본 서울 전경. 빨간 동그라미가 쳐져있는 부분이 청와대다. 청와대 앞 저층 건물 일대와 우측 끝 광화문 빌딩숲이 서로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양희문 기자

청와대 인근 주민들이 개발 기대감에 부풀고 있다. 윤석열정부 출범과 함께 금단의 영역이던 청와대가 시민의 품으로 돌아갈 예정이기 때문이다. 경호 문제에 따른 교통 통제, 층고 제한 등 규제가 풀릴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자연경관, 문화재 등을 이유로 여전히 개발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개발 규제로 낙후지역 전락한 청와대 일대

 

26일 서울 종로구 청운동 한 다세대주택 밀집지역./양희문 기자

지난 26일 오후 1시께 찾은 서울 종로구 청운동 한 다세대주택 밀집지역. 골목을 사이에 두고 허름한 주택들이 줄 지어 있었다. 골목길은 차 한 대도 지나가기 힘들 정도로 좁았다. 주차난도 심각했다. 대부분 건물이 오래돼 주차공간이 있는 곳을 찾기 어려웠다. 인근에 공영주차장이 있지만 이마저도 외부인 주차로 만차였다.

 

인왕산 자락 아래 위치한 신교동은 더 낙후돼 보였다. 비좁은 길을 따라 올라가니 낡고 쓰러져가는 주택들이 따닥따닥 붙어 있었다. 얽히고설킨 전선들은 동네를 더 허름한 분위기로 만들었다. 길도 워낙 좁은 탓에 차량 진입은 커녕 사람 한 명이 겨우 지나갈 정도였다. 택배기사도 대로변에 차를 대고 걸어서 생수 두 박스를 옮기고 있었다. 이곳에서 광화문 빌딩숲과의 거리는 차로 불과 5분이지만 풍기는 이미지는 상반됐다.

 

청운동과 신교동이 낙후지역으로 전락한 것은 개발 규제 때문이다. 청와대 인근(청운동·효자동·삼청동·신교동·옥인동·창성동·부암동) 약 119만㎡ 일대는 고도제한지역으로 묶여 1977년부터 고층 건물을 지을 수 없게 됐다. 현재 최고 4~5층 규모의 건물만이 즐비한 상황이다. 문제는 45년간 지속된 개발 규제로 편의시설 부재, 주차난 심화 등 주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신교동 주민 이창호(68)씨는 "서울 집값이 크게 오른데 반해 여기는 미미하다"며 "개발 제한을 풀어줘야 건물도 높게 짓고 편의시설도 들어오는데 아무것도 없다. 청와대 탓에 주민 불편만 크다"고 토로했다.

 

◆청와대 집무실 이전 개발 호재로 작용하나

 

26일 서울 종로구 효자동 소재 한 공인중개소 창문에 게재된 주변 지역 부동산 매물 안내문./양희문 기자

하지만 최근 청와대 일대 분위기는 사뭇 달라졌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으로 고도 제한 등의 각종 규제가 풀릴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여기에 청와대 부지가 공원화되고 주민들을 괴롭혔던 집회와 시위도 사라지는 것도 호재다.

 

주민들 사이에선 오세훈 서울시장의 재개발·재건축 사업 활성화 방침과 집무실 이전이 맞물리면 개발될 여지가 충분하다는 얘기가 돌고 있다.

 

청운동에 사는 김재현(57)씨는 "서울 전역에서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 동네만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그대로"라며 "집무실이 옮겨지고 개발 규제가 완화되면 이 지역도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씨 옆에 있던 안모(56)씨도 "고층건물이 들어서고 청와대가 공원화되면 시너지 효과가 상당할 것 같다. 주민들의 기대감이 크다"며 말을 거들었다.

 

청와대 일대 공인중개업소에도 투자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효자동 A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윤 당선인이 집무실 이전을 선언한 뒤로 매물을 물어보는 전화가 늘었다"며 "워낙 매물이 없는 상태에서 최근 집주인들도 물건을 거둬들이고 있어 안내를 못해주고 있다"고 전했다.

 

삼청동 B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며칠 동안 청와대 일대 투자 가능성을 묻는 전화가 빗발치고 있다"며 "실거주보단 투자 목적이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규제 여전할 것…개발 어려워"

 

26일 서울 종로구 청운동 한 주택 외관에 자하문로 유적 발굴 지역이었음을 알리는 안내판이 설치돼 있다./양희문 기자

전문가들은 청와대 인근 지역 개발은 한계가 있다는 게 중론이다. 현재 청와대 일대 개발 규제는 청와대 탓이 아니라 경복궁, 인왕산 자락 등 문화재 보존과 자연경관 보호 목적에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이명박 시장 재임시절이던 2010년 서울시 조례에 따라 청와대 일대를 '한옥보전구역'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한다고 해서 규제가 쉽게 풀리기 어려운 구조다.

 

더욱이 당장 대형 개발 사업을 추진할 만큼 넓은 부지도 없다. 작은 필지로 이뤄진 곳이 많은 탓에 개발을 하더라도 필지를 크게 하나씩 묶어서 개발을 해야 한다. 문제는 개발에 참여하는 조합원들이 많아지는 만큼 이익 관계가 복잡해져 갈등 요소가 커진다는 점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문화재가 있는 지역은 개발보단 적절한 수준의 보존으로 가는 것이 맞다"며 "고층건물이나 유흥시설을 짓는 등의 파격적 규제 완화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본부장은 "청와대 일대가 문화재 보존과 자연경관 보호 지역인데 개발을 하면 보존 자체가 안 되기 때문에 규제를 풀어줄 지는 미지수"라고 전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