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집무실 이전 기대감…용산 집값 들썩
대선 이후 한 달간 용산 아파트값 0.38% 올라
신고가 잇따르고 8억원 높이는 '배짱호가'도
다만 높은 호가 탓에 수요자들 관망세 유지
서울 용산의 집값이 들썩이고 있다. 새 정부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에 따른 기대감이 반영되면서다. 직전 실거래가 대비 8억원을 높여 부르는 등 '배짱호가'도 나타나고 있다. 다만 높은 호가 탓에 수요자들은 여전히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1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4월 첫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1% 올랐다. 지역별로는 중구(0.14%), 용산(0.10%), 동작(0.06%), 강남(0.04%), 도봉(0.04%), 광진(0.03%) 등이 상승했다. 반면 서대문(-0.05%), 마포(-0.05%), 송파(-0.01%), 성동(-0.03%), 동대문(-0.03%) 등은 하락했다.
특히 용산의 집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대선 이후 한 달간 용산 아파트값은 0.38% 올랐다. 서울 자치구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같은 기간 강남 0.11%, 서초 0.09%, 양천 0.07% 등의 오름세를 보였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영향으로 용산 집값이 급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용산공원이나 국제업무지구 등 그간 지연됐던 개발사업이 집무실 이전과 함께 빨라질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도 지난달 20일 집무실 이전 기자회견에서 "용산 지역에 추가 규제는 없을 것"이라며 "용산 대통령실 주변에 수십만 평 상당의 국민 공간을 조속히 조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주변 상권이 활성화될 것이란 기대도 있다.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 전문기업 알스퀘어가 '용산 시대 개막에 따른 상업용 부동산 시장 영향'에 대해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10명 중 6명이 집무실 이전이 상권에 긍정적 효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답했다.
상권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한 이유는 '유동인구가 늘면서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 30.8% 가장 많았다. ▲정부 기관 등 행정기관 추가 입주 기대감(24.6%) ▲대통령 집무실 소재 지역 프리미엄(21.5%) ▲대형 개발사업 가능성(12.3%) 등이 뒤를 이었다.
집무실 이전 기대감이 커지면서 신고가도 잇따르고 있다. 용산 이촌동 리버뷰 전용면적 138㎡는 지난달 19일 14억8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한남동 현대하이페리온 전용 197㎡도 지난달 13일 39억원에 신고가 거래됐다. 지난해 12월 37억원보다 2억원가량 오른 셈이다.
심지어 배짱호가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 용산 서빙고동 신동아아파트 전용면적 96㎡ 매물이 호가 33억5000만원에 나왔다. 직전 실거래가 25억8000만원(지난해 7월)보다 무려 8억원 정도 높게 부른 것이다.
다만 수요자들은 여전히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호재가 작용하면서 집값이 너무 오른 데다 개발 사업이 본격 착수한 게 아니어서 상황을 좀 더 지켜보겠다는 거래를 진행하겠다는 것.
이촌동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이미 집값이 너무 오른 상태여서 별다른 움직임은 없다"며 "새 정부가 출범하고 본격적인 개발이 이뤄져야 변화가 생길 것 같다"고 말했다.
서빙고동 한 공인개업소 관계자도 "투자 문의 전화는 늘어났지만 아직까지 거래가 진행되는 경우는 드물다"며 "집주인들도 집값이 오를 것이란 기대 때문에 매물을 쉽게 내놓지 않고 있다"고 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