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아파트의 미학(美學)] 롯데캐슬 클라시아, ‘도심 속 자연과 함께’

산·계곡 그대로 옮겨 놓은 ‘송풍수월원’
어린이 위한 다양한 테마의 놀이터
자연과 공생 위해 ‘육·수생 비오톱’ 조성

'롯데캐슬 클라시아' 부출입문 전경. /김대환 기자
대모산을 배경으로 설치된 '송풍수월원' 모습. /김대환 기자

최근 방문한 서울 성북구 숭인로 '롯데캐슬 클라시아'. 단지에 들어서자 산과 계곡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석가산이 먼저 눈에 들어왔다. 마치 자연 속 한가운데에 들어온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롯데캐슬 클라시아는 지하철 4호선 미아사거리역 4번 출구에서 걸어서 약 13분 정도 걸렸다. 아파트를 향해 걷는 과정에서 주변을 둘러보니 '롯데백화점 미아점', '와이스퀘어', 'CGV 미아점', '이마트 미아점' 등 생활 편의시설이 위치해 있었다. 특히, '현대백화점 미아점'은 단지 정문에서 도보로 3분 내에 위치해 슬세권(슬리퍼와 역세권을 합친 말)이 가능했다.

 

'롯데백화점 미아점' /김대환 기자
'현대백화점 미아점' /김대환 기자

'길음1 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어진 단지는 지하 6층~지상 37층, 19개동, 2029세대 규모다. 전용면적은 ▲59㎡ ▲84㎡ ▲112㎡ 등 다양한 타입으로 공급됐다.

 

아파트 정문에는 롯데캐슬 로고를 부각시켜 고품격 분위기를 연출했다. 지난 1월 입주를 시작한 단지는 깔끔하고 멋스러운 외관을 자랑했다.

 

숲힐링마당 모습. 가족들과 배드민턴을 치거나 가볍게 산책할 수 있는 주민운동공간이다. /김대환 기자
단지 내 조각공원 모습. /김대환 기자

단지는 입주민을 위해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인테리어와 다양한 특화 상품이 적용됐다. 집안에 나만의 정원을 꾸밀 수 있는 '캐슬홈가든', '빌트인 와인 냉장고', 더 넓고 쾌적한 욕실공간 '드림배스룸' 등 맞춤형 인테리어는 입주자의 만족도를 높여주고 있다는 평이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현관에서부터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현관 에어샤워 시스템을 기본으로 제공했다"면서 "전 세대에 세대 창고(세대 당 1개소)를 무상 제공했다"고 전했다.

 

단지 곳곳에 롯데캐슬 클라시아만의 조경이 눈에 띄었다. 대모산을 배경으로 설치된 '송풍수월원'은 바람, 폭포의 물줄기와 소나무가 조화를 이루는 한 폭의 산수화와 같은 경관을 연출하고 있었다.

 

'알록달록 종이접기 숲' 놀이터 모습. /김대환 기자
'부릉부릉 레이싱 경기장' 놀이터 모습. /김대환 기자

단지에는 '알록달록 종이접기 숲', '숲속을 지키는 수호나무', '부릉부릉 레이싱 경기장', '아마존에서 살아남기' 등 다양한 테마의 놀이터가 구성돼 있었다.

 

입주민 A(35)씨는 "놀이터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져 아이들이 좋아한다. 놀이터 앞에 휴식공간이 설치돼 부모들에 대한 배려도 엿보인다"면서 "단지 내 국공립어린이집이 있어 아이 키우는 신혼부부에게 좋은 여건을 제공해 주고 있다"고 말했다.

 

단지 내 국공립 어린이집 원생들이 상추와 방울토마토 등을 심었다. /김대환 기자
단지 내 국공립 어린이집 원생들이 자신의 씽씽카를 주차한 모습. /김대환 기자

단지 곳곳에는 정원도 조성돼 있었다. 정원 주변에는 테이블과 벤치가 놓여 있어 입주민에게 휴게공간까지 제공하고 있었다. 분수도 설치돼 시원하고 깨끗한 느낌을 받았다. 커뮤니티 시설로는 헬스장, 도서관 등 다양한 문화시설이 들어서고 있었다.

 

단지는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공생의 모습을 보여줬다. 곤충과 새들이 찾아올 수 있도록 새집과 돌무더기 등을 만들어 '육생 비오톱(인간과 동식물 같은 다양한 생물종의 공동 서식 장소)'을 완성했다. 연못과 횃대를 만들고 수생식물과 나무를 심는 등 '수생 비오톱'도 조성했다.

 

단지 내 분수 모습. /김대환 기자
단지 내 휴게시설 모습. /김대환 기자
단지는 자연과 공생을 위해 육생 비오톱을 조성했다. /김대환 기자
단지는 개구리와 새 등이 찾아올수 있도록 수생 비오톱을조성했다. /김대환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