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시세

영끌 성지 '노도강', 집값↓ 월세↑

매수세 감소·매물 누적·월세수요 증가
추가 금리인상, 경기침체 우려가 원인
집값 몇 달 사이 최대 1억500만원 하락

서울시 자치구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지난해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은 대출)을 통해 20·30 세대의 아파트 매수가 집중됐던 노원·도봉·강북구 일대의 집값이 하락하고 있다. 물가상승과 금리 인상, 경기 침체 등이 집값 하락의 원인으로 작용하면서 매매 시장은 극심한 '거래 절벽'에 빠졌다. 반면, 월세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월세화가 가속화되면서 덩달아 월세 가격도 상승하고 있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의 '월간 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강북 지역 주택매매가격은 -0.01%로 전달(0.04%) 대비 상승에서 하락 전환했다. 노원구(-0.09%→-0.16%)는 하락폭이 확대됐고, 도봉구(0.00%→-0.03%)는 하락 전환했다. 강북구(0.08%→0.01%)의 경우 상승폭이 축소됐다.

 

같은 기간 강북 지역 월세통합가격(0.06%→0.08%)은 상승폭이 확대됐다. 노원구(0.13%→0.19%)·도봉구(0.09%→0.14%)·강북구(0.03%→0.06%)도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월세통합가격은 월세가격에 준월세가격과 준전세가격을 합친 가격을 의미한다. 통상, 보증금 액수에 따라 월세와 준월세, 준전세로 나눈다. 월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12개월치 이하인 임대차 거래를 말한다. 준월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12~240개월 치인 거래를 뜻하고, 준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초과하는 임대차 계약을 의미한다.

 

서울시 자치구별 월세통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은 매수세 감소와 매물 누적, 월세수요 증가의 원인을 추가 금리인상,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보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전·월세 거래현황 자료'를 보면 올해 상반기(1∼6월) 서울에서 계약된 아파트 임대차거래(10만5736건) 중 월세를 낀 계약(4만2256건)의 비중이 39.9%로 지난해 같은 기간(35.8%)보다 4.1%포인트(p) 늘었다. 노원(8721건)·도봉(2997건)·강북(1579건)의 올해 상반기 월세를 낀 계약 비중은 총 1만3297건으로 전체의 31.5%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9.1%)보다 22.4%p 증가했다.

 

현지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대출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매매와 전세 대신 금리의 영향을 덜 받는 월세가 선호되고 있다"면서 "공급이 한정돼 있는 상황에서 월세 수요가 증가해 월세 가격이 오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원·도봉·강북 지역의 주택 가격은 몇 달 사이 최소 3500만원에서 최대 1억500만원 하락했고, 월세의 경우 5만~18만원 소폭 상승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노원 '상계주공1차'는 지난 4월 전용면적 32㎡가 5억4500만원에 거래됐다. 하지만 지난달에 같은 면적 거래가격은 5억1000만원으로 3500만원 하락했다.

 

지난달 같은 면적의 월세는 보증금 1000만원·월세 65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5월(보증금 1000만원·월세 47만원) 대비 월세 가격이 18만원이나 올랐다.

 

도봉구 '창동 주공3단지'는 지난 4월 전용면적 49㎡가 7억7200만원에 거래됐다. 하지만 전월에는 7억2000만원에 거래되면서 2개월 만에 가격이 5200만원 하락했다. 월세의 경우 지난 5월 같은 면적이 보증금 3000만원·월세 70만원에 거래됐다. 하지만 이달에는 보증금 1000만원·월세 75만원에 거래되면서 월세 가격이 5만원 상승했다.

 

강북구 'SK북한산시티'는 전달 전용면적 84㎡가 7억원에 거래됐다. 지난 1월 같은 면적 거래가격(8억5000만원)보다 1억5000만원 하락했다. 월세의 경우 지난달 전용면적 59㎡가 보증금 5000만원·월세 78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4월(보증금 1000만원·월세 70만원) 대비 월세 가격이 8만원 올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전반적으로 과거에는 집주인들에 의해 반강제적으로 월세화가 진행됐다면 현재는 세입자들과 같이 동조해서 월세화가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라면서 "향후 아파트 등급 자체가 월세 수령액에 따라 흐름이 달라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