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채권·펀드

좁혀지지 않는 '신용스프레드'…금융위기 수준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8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최상목(왼쪽부터) 경제수석,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추 부총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감원장. /뉴시스

신용스프레드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사태 수준을 넘어서며 자금시장이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정부의 채권시장 안정 대책에도 경기 침체와 신용위험 동반 리스크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는 모습이다.

 

3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기준 국고채 3년물과 신용등급 AA- 회사채 3년물 간의 신용스프레드는 176.2bp(1bp=0.01%p)로 집계됐다. 2008년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4월 29일 172bp를 웃도는 수치로 13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신용스프레드가 커질수록 시장이 회사채 투자 위험을 높게 본다는 걸 의미한다. 이에 따라 기업의 자금조달이 어려워지는 등 단기자금시장에 '돈맥경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기업 단기자금 시장의 바로미터인 91일물 기업어음(CP) 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0.01%포인트(p) 오른 5.53%로 나타났다. 올해 초 1%대이던 CP 금리는 지난 9월 22일부터 46거래일 연속 연고점을 경신했다. CP 금리는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서서히 오르기 시작했고, 이후 레고랜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사태에 따른 자금경색이 심화되면서 이달 들어 5%대를 넘어섰다. 자금 경색으로 기업들이 CP시장에 몰려들면서다.

 

특히 11월 들어 미국, 유럽, 중국 등 여타 주요국과 달리 국내의 경우 신용스프레드 확대가 이어지고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경우)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역전 폭 확대로 경기 침체 논란이 거셌지만, 아직 신용 위험으로 전이되거나 신용 위험을 증폭시키지 않고 있다"며 "미국의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와 신용 스프레드는 11월 들어 동조화 추세가 약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유럽과 중국의 신용스프레드 역시 우려와 달리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여타 주요국과 달리 국내의 경우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역전과 신용 스프레드 상승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국내는 경기침체와 신용위험 동반 리스크가 진정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주요국의 신용위험이 다소 진정되는 분위기인 것은 다행으로 보인다. 단, 국내 신용 위험을 줄이기 위해선 금융당국의 지속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김명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가 최근 발표한 채권시장안정펀드의 2차 캐피털콜 실시, 산업은행의 증권사 발행 CP 매입프로그램 심사시간 단축 등은 연말을 앞두고 금융기관과 기업들의 자금 조달 우려 확산 및 단기금융시장 경색 심화 가능성에 대한 조치로 풀이되지만, 단기자금시장은 어려움이 잔존해 있다"며 "정책 지원으로 당장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해 갈 수 있으나 단기자금시장에 가시적 성과가 확인되기까지는 시일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기업들은 대출 수요가 많은데 은행권에서는 위험(리스크) 관리를 위해 대출을 자제하는 분위기이며, 내년에도 줄어들 수 있다"며 "정부가 4분기에 향후 경기 전망을 하향 조정하거나 충당금을 더 쌓으라고 요구할 경우 기업 대출 금리가 더 오를 수 있다"고 꼬집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