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자이가이스트 “모듈러 단독주택 공급...새 패러다임 선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자이가이스트 기자간담회' 모습./김대환 기자

GS건설의 자회사인 자이가이스트(XiGEIST)가 본격적으로 국내 단독주택 시장에 진출한다. 프리패브(Prefab) 공법을 통한 모듈러 단독주택 공급으로 단독주택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도해 나가겠다는 목표다.

 

GS건설은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목조모듈러주택 전문 자회사인 '자이가이스트'가 홈페이지를 오픈하고 본격적으로 B2C(Business TO Consumer) 영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남경호 자이가이스트 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아직 우리나라의 단독주택 시장은 아파트 만큼 표준화 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균일하지 못한 품질과 낮은 AS 수준, 불합리한 가격체계 등이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면서 "자이가이스트는 프리패브 공법을 통해 균일하고 우수한 품질 보증과 차별화된 디자인, 합리적 가격을 제시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하자가 발생하면 책임을 다하는 등 고객 신뢰를 통해 단독주택 시장을 더 확장하고 발전시키겠다"면서 "다양한 사업포트폴리오 확장을 위해 새로운 시도도 계속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자이가이스트는 GS건설이 지난 2020년 100% 출자해 설립한 회사로 프리패브 공법을 통한 모듈러 단독주택 전문회사다. 프리패브 공법은 건축 시 현장 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장에서 사전 제작해 현장으로 운송 후 조립 및 완성하는 건설 공법이다. 현장 공정 최소화로 공기 단축과 품질 상승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자이가이스트가 공급하는 모듈러주택은 구조체를 공장에서 생산함으로써 현장 근로자의 숙련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일반 단독주택과 다르게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현장 공정을 최소화해 빠르면 2개월 이내(설계 및 인허가 기간 제외)에 공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GS건설은 자이가이스트를 통해 정밀하고 균질한 목조주택의 기술력을 구현하겠다는 목표다. 세계 최첨단 자동화 정비업체 바인만(Weinmann)의 제품을 사용해 생산 속도를 향상시켜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정확한 기준의 치밀한 작업을 통해 완성도 높은 제품을 만들 것으로 기대한다.

 

자이가이스트가 충남 당진 공장 부지 내에 설치한 목조모듈러 단독주택 Vol54(54평형) 샘플하우스./GS건설

자이가이스트는 이날 표준 모델 조합 중 대표적인 시제품(Prototype)과 함께 고객이 직접 모듈을 조합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인 '자이가이스트 컨피규레이터(XG Configurator)'를 공개했다.

 

자이가이스트 컨피규레이터는 고객이 자이가이스트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미리 준비된 모듈을 조합해 가며 제품을 완성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고객에게 미리 공간감과 평면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단독주택 설계에 큰 편의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이가이스트는 9평형 단일 모듈로 구성된 '소형주택 ADU(Tiny House ADU)'도 함께 선보였다. 'ADU(Attachable Dwelling Unit)'의 줄임말로 추가 모듈 결합을 통해 증축할 수 있는 소형주택 유닛을 의미한다.

 

건축비 마련이 용이하지 않은 예비 건축주가 1차적으로 ADU를 설치해 세컨드 하우스(Second House)로 활용해 보고, 향후에 추가 모들을 결합해 중축할 수 있도록 개발한 상품으로 오는 15일 자이가이스트의 충남 당진 공장에서 직접 관람할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