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중국 없으면 안 됐던 ‘전구체’…국내 공장 지으며 탈중국 속도↑

'2023 인터배터리'에 참가한 포스코케미칼 부스에 전시된 전구체, 황산코발트, 황산니켈 등의 소재 샘플 모습/허정윤 기자

날로 성장하는 배터리 시장에 '탈(脫)중국'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중에서도 '배터리 전구체'는 중국 소재 의존도가 높아 국내 배터리 소재사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구체 생산을 위해 국내 공장 짓기에 나선 모습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전구체의 중요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배터리는 양극재에 어떤 활물질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성능과 용도가 결정되는데 주로 니켈, 코발트, 망가니즈 등이 사용된다. 이런 원료들을 섞은 화합물을 '전구체'라고 부른다. 여기에 리튬을 더하면 비로소 양극재가 되어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의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전구체는 양극재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달하지만, 중국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비중이 높아 안정적 수급 차질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유럽연합(EU)의 핵심원자재법(CRMA)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하는 국내 기업으로서는 하루빨리 내재화가 필요한 요소 중 하나다.

 

여기에 '배터리의 역설'을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전구체 내재화는 필수다. 배터리는 이른바 '수출 효자', '잘 나가는 배터리'로 불려왔지만 무역적자 폭이 갈수록 커지는 분야이기도 하다. 실제로 전구체는 올해 4월 기준으로 15억2423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내 배터리 소재를 개발하는 기업들은 전구체의 중국 의존도 낮추기 위해 전구체 공장을 국내에 짓는 등 저마다의 계획을 실행하고 있다.

 

LG화학은 중국 화유코발트와 손잡고 새만금국가산업단지(새만금)에 전구체 공장을 건설하며 이차전지 소재 공급망 강화에 나선다. 양사는 2028년까지 총 1조2000억 원을 투자해 새만금산단 6공구에 전구체 공장을 지을 에정이며, 2026년까지 5만톤의 1차 생산 설비 양산 체제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 공장이 자리를 잡으면 연간 10만톤 규모로 전구체를 생산할 수 있게된다. 전구체 10만 톤은 전기차 100만여 대(500㎞ 주행 가능한 75㎾h 용량 기준)에 사용 가능한 분량이다.

 

포스코퓨처엠도 화유코발트와 손잡고 포항 영일만 일반산업단지에 2027년까지 전구체 생산 공장과 전구체 원료 중 하나인 니켈 원료 생산설비를 갖춘다. 연산 1만5000톤 규모에서 44만톤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해 내재화율을 14%에서 73%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한 LG화학은 온산산업단지에 고려아연 계열사인 켐코와 함께 '한국전구체주식회사'를 설립해 내년 2분기 양산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합작법인은 켐코에서 생산해서 공급하는 메탈뿐만 아니라 폐기물인 스크랩(Scrap)과 폐배터리에서 추출한 리사이클 메탈도 함께 활용해 전구체를 생산한다. 합작법인의 리사이클 공정은 건식과 습식 공정을 결합하여 기존 공정 대비 메탈 회수율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SK온은 에코프로, 중국 거린메이와 전구체 생산을 위한 합작법인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를 설립하기로 올해 1분기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3사는 최대 1조2100억원을 투자하고,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연간 생산량 약 5만톤 수준의 전구체공장을 짓는다. 지이엠코리아는 전구체 생산능력을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인력을 고용할 방침이다.

 

배터리 소재업계 관계자는 "당장 중국의 의존도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는 없지만, 앞으로 기업들의 공장이 지어지면 점차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전망"이라며 "소재 내재화는 배터리 개발만큼 중요한 영역이기에 기업들이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