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디지털 의료산업 활성화 위해선 갈등 풀고 협력 모색 필요" 이구동성

(왼쪽부터) 이길연 지아이비타 대표, 나군호 네이버 헬스케어연구소 소장, 한호성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안영신 부산시 첨단의료산업과 과장, 홍성민 교보생명 플랫폼추진팀디자인헬스케어 부문 차장, 차병열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센터장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토론을 하고 있다.

디지털의료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산업간 갈등을 해소하고, 각 지방자치단체뿐 아니라 업종간 협력도 필요하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나왔다.

 

디지털의료 산업은 우리나라 경제 성장을 주도할 중요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분야다. 특히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간극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총생산(GDP) 대비 의료비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디지털 의료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이길연 지아이비타 대표는 "미래에는 오래 사는 것뿐만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살아야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외과 교수인 이길연 대표가 전문가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로디'를 개발한 이유다.

 

'로디'는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앱이다. 생활 속에서 여러 가지 데이터를 모을 수 있고 나아가 인공지능을 활용해 빅데이터를 분석한다.

 

지아이비타를 비롯해 국내 다양한 스타트업들이 스마트 워치, 스마트 체중계, 웨어러블 로봇 등 여러 가지 의료기기를 만들고 있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협력이 필요하다"며 "각종 기기를 모으고 각 기기로 수집한 데이터를 종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의료 데이터와 인공지능(AI)만으로는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점도 강조했다.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치료'의 개념이 아니라 '관리'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미다. 의사로서 치료적인 관점과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대표로서 상업적인 관점이 충돌하는 상황도 잇따르기 때문이다.

 

그는 "건강 증진이라는 기본적인 목표를 통해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전문가들과 국민들이 동의하지 않을 때 갈등이 계속 된다"고 말했다.

 

보험업계도 디지털의료 산업이 국민 건강과 관련해 '예방'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점에 공감을 표현했다. 홍성민 교보생명플랫폼추진팀디지털헬스케어 부문 차장은 "예방, 진단, 치료, 사후관리 등의 일련의 과정에서 진단과 치료는 의료 분야지만 예방과 사후관리는 보험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며 디지털의료 산업이 국민 건강 증진 서비스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초거대 인공지능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한 '케어콜'을 통해 고독사 예방을 지원하고 있다. 이날 나군호 네이버 헬스케어연구소장은 "이번 주에도 1만5000명의 어르신들께 전화를 돌리고 있다"며 "우리나라 200여 지자체 중에 70여 개에서 '케어콜'을 사용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네이버는 지자체뿐 아니라 의료계와도 협력하고 있다. 엑스레이를 올리면 판독문을 써주면서 의사 업무의 효율을 높여주는 방향으로 기술력을 개발하고 있다.

 

한호성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교수는 "디지털의료 산업은 최적의 의료와 최선의 치료를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응급상황에서 병원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간단한 처치를 하거나 환자를 안정시키는 일, 환자의 상태를 병원에서 대기하고 있는 의료진에게 미리 알리는 일 등의 기능을 예로 들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