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2024년 경제산업전망' 발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상황, 고금리·고물가 등 변수
내년 우리나라 수출이 전년대비 5.6%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반도체 업황이 개선되고 자동차 수출 규모는 유지되는 한편, 정보통신 기기 수요도 살아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연구원은 2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경제·산업 전망'을 발표했다.
우선, 수출은 전년 대비 5.6% 증가, 수입은 0.7% 감소로 전망됐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는 업황 개선, 주요 기업의 감산정책 영향에 따른 수출단가 회복, 전년도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완만한 회복세가 이어지며 두 자릿수(15.9%) 증가가 예상된다.
지역별로는 그간 큰 감소세를 보였던 중국·아세안 지역 수출이 반도체 경기 회복으로 점차 개선되며 수출 회복세를 지지할 것으로 보인다.
유가와 환율 변동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봤다.
수입은 수출 업황 개선에 따른 중간재 수입 증가와 국제유가 안정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전년 대비 0.7% 감소로 예상했다.
수출 업황 개선으로 중간재 수입이 증가하면서 수입액 증가가 예상되며, 수출 개선 흐름에 따라 상반기 대비 하반기 규모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수출 규모가 확대되고, 수입은 감소하면서 내년 무역수지는 연간 265억달러 수준 흑자가 예상된다.
■ 반도체(15.9%)·정보통신(12.7)·바이오헬스(4.6%) 수출 증가
13대 주력산업 수출은 올해 4분기부터 나타난 글로벌 ICT 수요 회복세가 이어지고 전년도 기저효과 영향으로 IT신산업군이 수출 확대를 견인하며 전년 대비 5.2% 증가한 5047억달러로 전망됐다. 13대 주력산업 수출액은 2022년 5365억달러에서 올해 4799억달러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를 비롯해, 정보통신기기(12.7%), 바이오헬스(4.6%) 등 IT신산업군 수출 증가가 우리 경제의 수출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되나 전기차 보조금 축소 영향으로 이차전지 수출은 -2.6%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이밖에 일반기계(1.0%), 자동차(2.0%)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고, 조선(10.2%)은 고가 선박 인도 증가로 두 자릿수 성장세가 이어지고, 신흥국 수요 증가 등으로 철강(1.4%), 섬유(2.0%), 정유(1.0%) 수출 증가가 예상되나, 석유화학(-0.5%)의 경우 단가 하락 영향으로 횡보세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수출 대상국 중 미국, 유럽 수요는 인프라 구축과 공급망 내재화 등 영향으로 소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국의 경우는 경기 하방압력으로 대부분 산업에서 수출이 감소할 전망이다.
환율은 하반기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반도체 경기 개선에 따른 국내 수출 회복 등에 힘입어 완만한 하락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 성장률 2.0%, 민간소비 1.9% 증가
내년 우리나라 연간 성장률은 2.0%, 민간소비는 전년 대비 1.9%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경제는 IT경기의 완만한 회복세에 힘입은 수출과 설비투자 증가세 전환에도 불구하고 고물가·고금리의 부정적 영향이 본격화됨에 따른 소비 성장세 둔화와 건설투자 위축으로 완만한 성장이 예상된다.
대외적 불확실성 요인으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진정 여부와 주요국들의 고금리 지속에 따른 금융 부문의 불안정성, 전쟁 등으로 인한 지정학적 불확실성, 반도체 경기의 회복 속도, 대내적으로는 가계부채 문제의 현실화가 꼽힌다.
민간소비는 고금리와 높은 가계부채로 인해 이자부담 확대, 금융 부문과 지정학적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자산가치 하락, 고물가에 따른 구매력 약화 등이 성장을 제약할 것으로 봤다.
국제유가는 베럴당 83달러, 환율은 달러당 1280원 내외로 예상됐다. 유가는 원유 생산국의 공급 증가 가능성이 가격 상승을 제한하고, 글로벌 경기 둔화로 수급 우려가 완화되면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이같은 전망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 지정학적 불확실성 속에서 제한적 성장이 이뤄지고 세계교역이 전년(2023년) 침체에 따른 기저효과로 반등한다는 전제에 따른 것으로 대내외 여건에 따른 불확실성은 존재한다.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 이재윤 실장은 "디지털 전환과 친환경화 추세에 따른 고기능 제품의 수요 확대와 관련 인프라 투자도 양호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통화 긴축기조와 국제 정세 불확실성은 수요 회복을 제한하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