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서울 아파트값 8주째↓...매수심리 2주 연속 상승

한국부동산원 '주간아파트동향' 분석
'올림픽선수기자촌2단지' 전용면적 100㎡, 3개월 만에 1억2000만원 하락
"1.10대책 발표에도 시장 움직임 별다른 변화 없는 상황"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뉴시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8주 연속 하락했다. 매매수급지수의 경우 2주 연속 상승을 기록하며 소폭 회복세를 보였다.

 

28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아파트동향'에 따르면 1월 넷째 주(22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3% 하락했다. 낙폭이 전주(-0.04%)보다 둔화를 보이며 8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권역별로는 강북권에서 노원구(-0.03%→-0.04%)가 상계·공릉동, 도봉구(-0.03%→-0.05%)는 도봉·창동 구축, 강북구(-0.02%→-0.06%)는 미아·번동 대단지, 성북구(-0.04%→-0.07%)는 정릉·종암동 위주로 하락했다.

 

강남권에서는 강서구(-0.03%→-0.05%)가 염창·가양동, 금천구(-0.06%→-0.04%)는 가산·시흥동 주요단지, 송파구(-0.13%→-0.06%)는 풍납·방이동, 서초구(-0.04%→-0.04%)는 서초·잠원동 구축 위주로 떨어졌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향후 부동산시장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매수자의 관망세 짙어지고 매수문의는 한산했다"면서 "매물가격이 조정되고 급매물 위주의 간헐적 거래만 발생하는 등 하락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도봉구 창동에 위치한 '동아청솔'은 이달 전용면적 59㎡가 5억8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11월 매매가격(6억4500만원) 대비 6500만원 하락했다. 송파구 방이동에 위치한 '올림픽선수기자촌2단지'의 경우 이달 전용면적 100㎡가 20억5000만원에 거래되면서 3개월 만에 1억2000만원 떨어졌다.

 

서울 지역의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2주 연속 소폭 상승을 기록했다. 1월 넷째 주(22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3.1을 기록했다. 전주(83.0)와 비교하면 0.1포인트 상승했다.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해 11월 첫째 주(87.6)부터 8주 연속 떨어졌다. 이후 2주간 보합(82.9) 상태를 보이다가 지난주 상승전환 이후 오름세가 이어졌다.

 

매매수급지수는 한국부동산원이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설문해 수요와 공급 비중(0~200)을 지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집을 팔려는 사람이, 200에 가까울수록 사려는 사람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정부가 연초부터 1.10대책을 발표하며 재건축·재개발 규제완화 등의 공급확대 방안을 발표했지만, 아직까지는 시장 움직임에 별다른 변화가 없는 상황"이라면서 "주택가액(6억 이하)과 소득(7000만~1억원 이하) 기준은 물론 대출한도(3.6~4억원)도 축소돼 기존 특례보금자리론 대비 주택 거래 시장에 미치는 효과 자체가 미미할 전망이다"라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