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수도권 평당 분양가, 전년 동월 대비 14.82%↑
매년 소형 평형 공급량 감소로 수요자 몰려
“소규모 가구 증가로 소형 평형 시장서 주목”
최근 수도권 아파트 분양가격이 급등한 가운데 가격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은 소형 평형으로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형 평형 공급량 감소와 1~3인 가구 증가 등으로 소형 평형 인기는 커질 전망이다.
1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수도권 평당 분양가는 3.3㎡당 2434만4100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 분양가(2120만2500원) 대비 14.82%(314만1600원) 올랐다.
같은 기간 서울 평당 분양가는 3.3㎡당 2977만9200만에서 3494만7000원으로 17.35%(516만7800만원)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HUG가 발표하는 월별 평균 분양가격은 공표 직전 12개월 동안 분양보증서가 발급된 민간 분양사업장의 평균 분양가격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양가 상승 흐름에 수도권 일부 단지의 전용면적 84㎡의 분양가격은 10억원에 준하거나 웃돌았다.
실제로 지난해 경기 광명에서 분양한 3개 단지(광명자이더샵포레나·광명센트럴아이파크·트리우스광명)의 전용면적 84㎡는 10억~12억원 선에 공급됐다. 지난해 11월 의왕시에서 분양한 '의왕 센트라인 데시앙'의 경우 전용면적 84㎡가 9억 초반대로 책정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택 수요자들 사이에선 중대형 아파트 대비 가격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은 소형 평면에 눈길을 돌리는 모양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 면적별 전체 청약경쟁률은 60㎡ 이하 면적이 16.74대 1로, 60~85㎡ 이하(9.69대 1)보다 높게 나타났다.
소형 평수 아파트 매매 거래량 또한 눈에 띄게 달라졌다.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지난해(1월~12월) 수도권 아파트 전용면적 60㎡ 이하 매매 거래량은 6만7222건으로 전년 동기 거래량(4만4429건)보다 51.3%(2만2793건) 증가했다.
소형 아파트 공급량이 줄어든 것도 수요자들을 몰리게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수도권의 전용면적 60㎡ 이하 아파트 공급량은 ▲2021년 3만4349가구 ▲2022년 2만5777가구 ▲2023년 1만7506가구로 계속 감소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매년 1~3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어 59㎡ 이하 평형의 인기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한다.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보면 지난해 수도권 세대별 가구는 1~3인만 오름세를 보였다. 1인가구는 1월 465만9391가구에서 12월 474만3994가구로 1.82%(8만4603가구) 증가했다.
같은 기간 2인가구는 268만1071가구에서 273만9644가구로 2.18%(5만8573가구) 늘었다. 3인가구의 경우 1.01%(209만724가구→211만1878가구) 증가했다.
업계 전문가는 "소규모 가구가 매년 증가하면서 전용면적 59㎡ 이하 면적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면서 "시공사의 설계 기술의 상향 평준화로 소형평수에서도 널찍한 공간을 누릴 수 있는 것도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전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