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경기·인천으로 탈서울 가속...'분양가 상승 원인'

분양가 낮고 서울 접근성 높은 수도권으로 수요 몰려
지난해 서울서 경기·인천으로 30만명 이상 전입
“탈서울 현상 가속화...GTX 수혜 예상 지역 관심”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뉴시스

서울 지역의 아파트 분양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수요자들이 경기, 인천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서울에 대한 접근성이 좋고, 상대적으로 낮은 분양가에 내 집 마련이 가능해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15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민간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는 3494만원으로, 동년 1월(3063만원) 대비 14.1%(431만원) 올랐다. 전용면적 84㎡ 기준 새 아파트의 분양가는 12억원에 근접하는 수준이다.

 

서울 지역의 분양가는 지난 2022년 5월 2000만원대로 떨어진 후 같은 해 12월까지 3000만원을 밑돌았다. 지난해 1월 3000만원대로 다시 오른 이후 3월부터 지속적인 상승세를 타며 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서울의 치솟은 분양가로 경기·인천과의 분양가 격차는 더 벌어졌다. 지난 2022년 12월 말 기준 서울과 경기의 평당 분양가 차이는 1260만원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말 1335만원으로 격차가 커졌다. 인천은 경우는 1312만에서 1845만원으로 500만원 이상 격차가 벌어졌다.

 

HUG가 발표하는 월별 평균 분양가격은 공표 직전 12개월 동안 분양보증서가 발급된 민간 분양사업장의 평균 분양가격을 의미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서울에서의 내 집 마련을 단념하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경기, 인천으로 향하는 수요자들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서울에서 경기, 인천으로 30만명 이상이 전입했다.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해 서울에서 타 도시로 이동한 전출인구 46만1409명 중 경기와 인천으로 이동한 인구는 32만531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의 70.5%에 달한다. 서울에서 경기도로 전입한 인구는 27만9375명, 인천은 4만5,942명으로 조사됐다.

 

업계에서는 서울 아파트 분양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자금 부담이 커진 수요자들이 서울과 인접한 경기, 인천 지역으로 전입했다는 분석이다. 집값 부담은 줄이고, 보다 넓고 쾌적한 단지에 살고 싶다는 수요가 '탈서울'을 촉발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수도권에서 분양하는 신규 단지에 수요가 몰리며 분양시장은 뜨거워지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지난해 경기, 인천 지역 분양 단지의 청약자 수는 총 36만8730명으로 전년(35만7934명) 대비 약 3.0%(1만796명) 늘었다. 같은 기간 전국 청약자 수가 112만2418명에서 108만5416명으로 3.3%(3만7002명)줄어든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건축 자잿값, 인건비 등의 인상으로 올해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탈서울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면서 "정부의 교통망 확충 발표로 수도권에서 서울 접근성이 더욱 높아질 예정인 만큼 인천과 경기 지역으로 눈을 돌리는 수요자들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수혜가 예상되는 지역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