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아파트 한 채당 분양가 8억4417만원...전년比 34%↑

원자잿값·인건비 상승, 고급 주거 단지 분양 등 원인
수도권 아파트 분양가, 지난해 대비 50% 상승
“분양시장 양극화 계속될 전망”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뉴시스

올해 공급된 아파트 한 채의 분양가가 지난해 대비 34%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잿값과 인건비 상승, 고급 주거 단지 분양 등이 분양가를 끌어 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이 지난 1~2월 공급된 전국 분양 단지의 분양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분양한 아파트 한 채당 분양가는 8억4417만원으로, 지난해(6억2980만원) 대비 34.04%(2억1437만원) 높았다. 3.3㎡당 분양가는 2418만원으로, 지난해 (2034만원)에 비해 18.88%(384만원)가량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수도권 아파트 한 채당 분양가는 10억5376만원으로, 지난해(6억7946만원) 대비 50.33%(3억7430만원) 상승했다. 같은 기간 지방은 5억7287만원에서 6억5999만원으로 15.21%(8712만원) 올랐다. 올해 3.3㎡ 당 분양가는 수도권 2964만원, 지방 1938만원으로 지난해 보다 각각 24.69%(587만원), 18.02%(296만원)씩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분양가 상승폭이 두드러진다. 서울 아파트 한 채당 분양가는 25억9961만원으로, 지난해(9억6259만원)보다 170.6%(16억3702만원) 높다. 3.3㎡당 분양가는 6855만원으로 작년(3685만원) 대비 86.02%(3170만원) 상승했다.

 

올해 분양된 '포제스한강'과 '메이플자이'의 3.3㎡당 분양가가 각각 1억3770만원, 6831만원으로 책정되며 분양가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 아파트 분양가 추이./직방

지방에서는 부산의 분양가 상승폭이 컸다. 부산은 총 5개 단지가 공급된 가운데 광안대교를 조망할 수 있는 입지를 갖춘 고급 단지가 분양에 나서며 분양가가 상승했다. 올해 부산 아파트 한 채당 분양가는 10억7756만원으로, 지난해(6억3798만원)보다 68.90%(4억3958만원) 올랐다. 같은 기간 3.3㎡당 분양가는 2046만원에서 3222만원으로 57.48%(1176만원) 높다.

 

분양가는 지난 2021년 이후로 계속 오르고 있다. 분양가가 오르는 이유는 원자잿값 및 인건비 상승이 주요한 원인이다. 하지만 올해 1~2월의 경우 도심 인프라, 강과 바다 조망 등 특정 수요자들을 타깃으로 한 고급 주거단지들이 분양하며 평균 분양가 수준을 끌어올린 영향이 크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리드는 "원자잿값 상승 등으로 인해 분양가를 높여 수익성 확보가 필요한 건설사와 분양가 인상에 부담을 느끼는 수요자들의 입장이 상충하면서 분양시장 어려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분양가가 비싸더라도 원하는 입지나 가치를 갖고 있는 단지인지 등을 따지는 전략적 접근으로 분양시장의 양극화는 계속될 전망이다"라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