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카드

간편결제 돌파구 못찾는 카드사…투자도 '진퇴양난'

온라인, 해외결제 사업 단행?..."효율성 떨어져"
"과감한 편승도 고려해야"...기술사 따라가기 벅차

카드사가 결제 편의성을 높이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간편결제 시장에서 신용카드사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뉴시스

간편결제 시장에서 신용카드사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결제 편의성을 높이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빅테크사로 옮겨 붙은 영향이다. 결제시장의 대항마로 오픈페이를 출시한지 1년이 지났지만 유명무실하다는 비판만 나온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중 전자지급서비스 이용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회사의 간편결제 서비스 점유율은 25.6%다. 지난 2020년 30%선을 유지했지만 매년 감소세다. 금융회사에는 카드사 9곳(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비씨·NH농협카드)과 케이뱅크, 대구은행 등을 포함한다.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 규모는 매년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이용 잔액은 8755억원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다. 반면 카드사의 결제 비중은 매년 줄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네이버, 카카오 등 빅테크사의 독무대가 이어지고 있다. 오프라인에선 삼성, 애플 등의 휴대폰제조사가 바짝 추격하고 있다.

 

지난해 간편결제 서비스 점유율을 살펴보면 ▲전자금융업자(48.9%) ▲금융회사(25.6%) ▲휴대폰제조사(25.6%)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처음으로 휴대폰제조사가 금융회사와 동률을 이뤘다. 지난 2020년 금융회사는 휴대폰제조사와 점유율 격차를 6.7%포인트(p) 벌리면서 앞서가는 양상을 나타냈다.

 

업계에서는 간편결제 시장 내 카드사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배경으로 편의성 저하를 손꼽았다. 손짓 한 번 만으로도 구동할 수 있는 'OO페이'와 비교하면 카드사앱을 켜고 결제화면까지 이동해야 하는 수고로움이 선호도를 떨어뜨린다는 분석이다.

 

카드업계가 간편결제 시장 진입을 위해 출시한 '오픈페이' 또한 존재감이 미미하다. 지난해 11월 NH농협카드가 여섯번째로 합류하면서 '반쪽짜리'라는 오명은 벗었지만 편의성 별도의 개선 작업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용처도 제한적이다. 온라인과 해외 가맹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특히 해외결제 서비스 개시를 두곤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선을 긋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 성과를 내지 못한 만큼 해외 진출 비용이 매몰될 우려가 있어서다. 통상 페이를 통해 결제 시 카드 정보를 암호화한 '토큰'을 발행해야 한다. 토큰발행을 해외결제까지 확대하기에는 비용적으로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

 

카드업계가 오픈페이를 두고 골머리를 앓고 있는 사이 빅테크사는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최근 네이버페이는 안면인식 결제 시장에 진출했다. 경희대학교 학생식당에 안면인식 키오스크를 설치하고 시범에 나선 것이다. 네이버에 안면 생체정보를 등록하면 지갑과 휴대폰이 없어도 결제가 가능하다.

 

한편 일부 카드업계에서는 간편결제 시장에서의 경쟁을 과감하게 포기해야 한다는 입장도 나온다. 핵심은 편의성 제고인데 금융회사가 기술사를 따라가기 벅차다는 의견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신용카드 혜택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간편결제는 빅테크사와 협업으로 선회하자는 전략이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지 간펼결제 시장의 규모는 1조원도 도달하지 못했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른 대비가 요구된다"며 "단 올해 카드사의 관심이 건전성과 수수료 조정에 쏠려있는 만큼 추후 경쟁력 제고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