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치솟은 민간아파트 분양가...청약 옥석가리기 심화

HUG ‘2월 민간 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분석
원자잿값·인건비 상승 등으로 분양가 인상 불가피
“뉴타운·신도시 등 가격 상승 여력 높은 단지에 청약 몰릴 것”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뉴시스

최근 원자잿값과 인건비 인상 등으로 공사비용이 오르면서 분양가가 급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민간아파트 2월 평균 분양가가 1년 만에 24% 이상 상승한 가운데 수요자들 사이에서 '지금이 가장 싸다'라는 말이 유행처럼 돌면서 청약 옥석가리기가 심화하는 모양새다.

 

11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는 3.3㎡당 1770만7800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분양가(1743만7200만원) 대비 2%(27만600원) 오르며 12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동월 분양가(1560만2400만원)와 비교하면 약 14%(210만5400만원) 올랐다.

 

2월 서울 민간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는 3780만800원으로, 전년 동월 분양가(3044만5800만원) 대비 24%(735만5000원) 올랐다. 전용면적 84㎡ 기준 새 아파트의 분양가는 13억원에 근접하는 수준이다.

 

HUG가 발표하는 월별 평균 분양가격은 공표 직전 12개월 동안 분양보증서가 발급된 민간 분양사업장의 평균 분양가격을 의미한다.

 

업계에서는 원자잿값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분양가가 급등한 것으로 분석한다. 건설협회에 따르면 시멘트 1톤(t)당 가격은 지난 2020년 6월 7만5000원에서 2021년 7월 7만8800원으로 오른 이후 2022년 2월 9만2400원, 11월 10만5400원으로 올랐다. 지난해 11월에는 11만1000원으로 추가 인상됐다.

 

원자잿값 상승이 이어지면서 기본형건축비가 크게 인상됐다. 올해 3월 기본형 건축비는 ㎡당 197만6000원에서 203만8000원으로 3%(6만2000원)상승했다. ㎡당 200만원을 돌파한 것은 최초다. 이러한 상승 흐름은 오는 9월 고시될 기본형 건축비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여 분양가 상승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청약시장에서 가격 상승 여력이 큰 지역에 청약자가 몰리는 선별 청약 양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대표적인 지역으로 뉴타운이 있다. 해당 지역은 개발이 진행 중인 곳으로, 지역 가치가 가격에 반영되기 전이기 때문에 개발 완료 시 가격 상승 기대감이 크기 때문이다. 대형 건설사가 시공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아 대규모 브랜드 타운을 이루며 입주 후에도 가격 상승 여력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수색증산뉴타운에 있는 'DMC아트포레자이'는 지난해 6월 입주 이후 가격이 급등했다. 국토교통부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전용면적 59㎡가 8억8570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분양가(5억700만원) 대비 3억7870만원 오른 가격이다.

 

업계 관계자는 "분양가가 더 오르기 전 내 집 마련을 서두르는 수요자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뉴타운이나 신도시 등 가격 상승에 대한 '학습효과'를 경험한 지역의 신규 단지에 청약통장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