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OTT 무섭네…케이블TV부터 IPTV 추락 '본격화'

SK브로드밴드가 자사 인터넷TV(IPTV) B tv로 프로야구를 시청한 고객 1130명에게 아이패드, 에어팟 등 경품을 증정한다고 3일 밝혔다./SKB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확산으로 국내 유료방송 산업이 존폐위기에 놓였다. OTT의 구독료 인상으로 가계통신 부담이 증가하자 유료방송 서비스를 해지하는 '코드 커팅(Cord-cutting·TV상품해지)'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 이에 케이블TV 는 물론 IPTV(인터넷TV)를 시청하는 유료방송 가입자가 정부 공식집계 이래 최초로 감소했다.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23년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는 3631만106명으로, 같은 해 상반기보다 3만789명(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는 "2015년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 조사 이후 첫 가입자 감소"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감소에는 유료방송 전체 가입자를 견인했던 IPTV 가입자 수가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

 

유료방송 점유율은 지난해 하반기 IPTV가 57.63%, 케이블TV가 34.54%, 위성방송이 7.83%를 차지한다. 사업자별로는 KT가 24.31%(882만7392명)로 1위, SK브로드밴드가 18.41%로 2위, LG유플러스가 14.91%로 3위를 유지했다. LG헬로비전이 9.97%로 4위, KT스카이라이프가 7.83%로 5위, SK브로드밴드가 7.77%로 6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유료방송 점유율 1위인 IPTV의 직전 분기 대비 가입자 증가율은 0.54%에 불과했다. 이 수치는 2020~2021년 3~4%대를 유지하다 2022년 상반기 2.61%, 하반기 1.79%로 떨어졌고 지난해 상반기 1.21%로 재차 내려앉았다. 이후 이번 조사 때는 0%대에 접어들었다. 이 추세대로라면 IPTV 가입자는 이르면 올 하반기내 순 감소세로 접어들 전망이다.

 

특히 IPTV 1위 사업자 KT 가입자 수는 지난 하반기에 3만8576 가입자가 줄었다. 유료방송 매체인 케이블TV·위성방송은 이미 2021년 하반기부터 매 반기 0.7~2%대 가입자 감소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에 따르면 케이블TV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의 방송부문 영업이익은 2018년 2334억 원에서 2022년 192억 원까지 9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는 "케이블TV는 지역 단위 허가사업자로 IPTV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경쟁사업자 대비 다양한 규제를 적용받고 있으며 30여년 전 부여받은 지역 채널 운용 의무로 인해 투자비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이는 OTT가 IPTV의 대체체로 자리 잡으면서 코드커팅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OTT를 매일 보는 시청자는 전국 인터넷 이용자의 82.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의 '2023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인터넷 이용자 4775만여명은 82.3%가 OTT를 매일 시청한다고 답했고 이들의 주간 평균 OTT 시청시간은 6.9시간에 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OTT를 한 달에 1차례 이상 시청한다고 답한 이들은 지난해 인터넷 이용자의 98.5%(전년 대비 +1%p)였다. 이들의 주당 평균 OTT 이용시간은 전년보다 0.3시간 늘어 6.9시간으로 집계됐다.

 

이에 IPTV 3사는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OTT와 콘텐츠 제휴를 통해 결합 할인을 제공하는 한편, AI 신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는 산업 전체가 위기에 직면한 만큼 정책적 지원과 시장 재편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부도 이러한 위기 상황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3월 발표된 '미디어·콘텐츠 산업융합 발전방안'에는 외국인 등의 유료방송 지분 소유제한과 재허가·재승인 제도, 방송광고 규정 등을 폐지·완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하지만 해당 제도가 추진되기 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19일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024 케이블TV방송대상' 축사에서 케이블TV 산업의 위기를 짚으며 규제 개선 등에 힘쓸 것을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