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수요, 2023년 2604만t→2024년 2284만t, 12.3%↓
재고, 109만t→126만t…수출 힘든데 중국産 수입 압박도
시멘트업계, 설비투자 2020년 3429억서 올해 6076억까지
업계 "年 출하량 4000만t대 하락 우려…'비상경영' 목소리"
대한민국 시멘트가 사면초가다.
전방산업인 주택건설경기가 전반적으로 침체되며 수요가 점점 줄고 있다. 재고는 쌓이고 있다.
수출도 녹록치 않다. 중국산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낮기 때문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건설업계에선 아예 저가 중국산 시멘트 수입을 추진하며 국내 시멘트회사들을 압박하고 있다.
환경규제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설비투자는 더욱 늘어나고 있다.
장사는 안되는데 비용만 증가하는 구조다.
시멘트업계에선 비상경영을 위한 '컨틴전시 플랜(Contingency Plan)'까지 필요한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8일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상반기 기준으로 지난해 2604만톤(t)이었던 시멘트 수요는 올해엔 2284만t으로 12.3% 줄었다. 같은 기간 생산도 2603만t에서 2274만t으로 12.6% 감소했다. 생산과 출하가 모두 두 자릿수 줄어든 모습이다.
수요가 위축되며 재고는 늘었다. 지난해 상반기 109만t이었던 시멘트 재고는 올해엔 126만t까지 늘었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출하량이 줄고 재고가 늘어난 것은 악화된 건설경기가 가장 큰 이유이지만 침체 정도가 예상보다 커 당황스럽다"면서 "이달 초 건설업계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건설동행지표인 건축착공이 정부의 적극적인 부양의지와 지난해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가 맞물리면서 올해 상반기에 증가했지만 선행지표인 건축허가면적이나 건설수주도 올해 상반기에 전년 동기대비 크게 줄어 착공만으로 시장 회복을 기대하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특히 최근 수년간 시멘트 출하량 감소 등이 이어지고 있어 추세로 굳어지고 있는 분위기다.
실제로 2018년 당시 5734만t이었던 시멘트 총출하(내수+수출)는 2020년엔 5304만t으로 줄더니 2022년에는 5229만t까지 감소했다.
시멘트 수출도 544만t(2018년)→528만t(2020년)→264만t(2022년)으로 점점 줄었다. 출하량 대비 수출 비중도 2018년과 2020년 9~10% 수준이던 것이 2022년엔 5%까지 위축됐다.
국내 수요는 갈수록 줄고, 그렇다고 수출도 바라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고 공장을 놀릴 수도 없어 재고만 쌓이는 형국이다.
시멘트 A사 관계자는 "일부 업체의 경우 조만간 생산량 조절을 위해 부분적으로 설비 가동 중단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이런 추세라면 연간 출하량이 4000만t대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암울한 예측도 나오고 있다. 이는 IMF 외환위기 직후에도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라고 토로했다.
이런 가운데 건설업계가 중국산 시멘트 수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복병까지 등장했다.
중국산 시멘트를 들여오는 것은 중견건설사 구매담당자 모임인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건자회)가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시멘트가격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산 수입을 통해 이를 견제하겠다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업계에 따르면 2021년 7월 당시 t당 7만8800원이었던 국내 시멘트가격은 9만2400원(2022년 2월)→10만5000원(2022년 11월)→11만2000원(2023년 11월)으로 올랐다.
시멘트업계에선 원자재값 상승, 미래를 위한 환경투자 비용 등의 이유를 들어 가격 인상은 어쩔수 없었다는 반응이다.
하지만 건설업계 일부에선 '가격 압박용'을 떠나 실제 중국산 시멘트 수입에 적극적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아울러 유연탄과 함께 시멘트 제조원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비용 증가에 대한 시멘트업계의 고심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한편 친환경 등 시멘트 7개사의 설비투자 총 규모는 2020년 당시 3429억원에서 올해 6076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특히 올해들어 현재까지 5892억원을 집행해 당초 계획했던 액수의 97%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멘트협회 관계자는 "올해 설비투자 조기집행 규모는 갈수록 강화되는 환경 기준 강화에 대비해 오염물질 저감 시설 투자 등을 최대한 앞당기고 탄소중립 달성에 필요한 순환자원의 안정적인 사용 확대를 위한 설비 신설 및 증축이 불가피했기 때문"이라며 "지난해 하반기 판매가격 인상 효과가 반영되면서 업계 전체적으로 올해 상반기에 319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지만 투자 실행 및 계획을 감안하면 올해 예상되는 순이익은 고스란히 설비투자에 들어간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 상황"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