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중앙대, 개교 108주년 ‘2024 중앙인의 날’ 성료

권정택·위성렬·김중구·강신하·김영진 동문, 자랑스러운 중앙인상 수상

중앙대 총동문회는 2024년 모교의 이름을 빛낸 자랑스러운 중앙인으로(왼쪽부터) 권정택 중앙대병원장, 위성렬 신우팜앤라텍스 대표, 김중구 KNJ엔지니어링 대표, 강신하 미국 뉴욕주 변호사, 김영진 국회의원을 선정했다./중앙대 제공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는 총동문회가 개교 108주년을 맞아 25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개최한 '2024 중앙인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박상규 총장과 신현국 총동문회장을 비롯해 유용태 전 노동부장관, 김영진 국회의원 등 600여 명의 중앙대 동문이 참석했다.

 

1부 행사 진행은 SBS 이일환(신문방송 92) 동문과 KBS 주수빈(영어교육 18) 동문이 맡았다. 각급 동문회기 입장, 총장·총동문회장 축사, 자랑스러운 중앙인상 시상식, 특별상·공로상 시상식, 장학금 수여식 순서로 행사가 진행됐다.

 

중앙대 총동문회는 올해 모교의 이름을 빛낸 자랑스러운 중앙인으로 ▲권정택(의학 80) 중앙대학교병원장 ▲위성렬(화학 81) 신우팜앤라텍스 대표 ▲김중구(무역 81) KNJ엔지니어링 대표 ▲강신하(법학 81) 미국 뉴욕주 변호사 ▲김영진(경영86) 국회의원을 선정했다. 신현국 총동문회장과 상훈위원장인 이재응(기계공학 77) 중앙대 명예교수가 상패와 축하의 꽃다발을 전달했다. 자랑스러운 중앙인상은 1989년 제정된 이래 35년 동안 130여 명에게 수여된 유서 깊은 상이다.

 

이어 특별상 시상식이 진행됐다. 중앙대 설립자인 승당 임영신 박사를 기리기 위해 중앙대의 교육이념을 담아 올해 처음으로 제정한 '의와 참'상이 유용태 전 노동부장관(법학 58)에게 수여됐다. 헌신적인 성원으로 모교와 총동문회를 지원한 동문에게 주어지는 공로상은 뉴욕동문회 회장, 북미주동문회 연합회 회장을 역임한 김진(영어영문 69) 동문이 받았다.

 

개그맨 김상태(연극영화 92) 동문의 사회 속에 진행된 2부 행사에서는 축하 공연과 경품 추첨이 진행됐다. 다섯손가락의 <풍선>, 황규영의 <나는 문제없어> 등을 작곡한 가수 겸 작곡가 김성호(건축미술 77) 동문의 축하 공연에 이어 행사에 참석한 가수 원미연(연극영화 84) 동문의 깜짝 공연이 펼쳐졌다. 동문들이 후원한 경품 추첨과 교가 제창을 끝으로 이날 행사는 모두 마무리됐다.

 

신현국 총동문회장은 “중앙대의 상징 청룡의 해 갑진년에 열린 중앙인의 날 행사에 참석해 준 선후배 동문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전한다. 2022년 제16대 총동문회장으로 취임한 이후 지난 3년간 동문 여러분의 많은 성원과 격려에 힘입어 총동문회가 발전적 행보를 계속할 수 있었다"라며 "오늘날 우리 주변의 환경은 급변하고 있고 도처에 처한 상황도 어렵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 중앙인은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 우뚝 설 수 있는 지혜와 의지를 지니고 있다고 믿는다. 새롭게 도전하고 전진하는 중앙인이 되시기 바란다”고 기념사를 전했다. 

 

박상규 총장은 "동문들의 격려와 응원은 모교가 계속 발전하고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오늘의 자리가 단순한 동문 간의 만남을 넘어 중앙대라는 이름이 갖는 품격을 느끼고, 108년 역사 속에서 이어지고 있는 의와 참의 정신을 다시 한번 되새기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미래사회 첨단분야를 선도하는 연구중심대학 중앙대가 열어가는 새로운 미래에 동문 분들의 많은 응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