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더 위로”, 연세대·고려대 수시 최초합격자 46% 등록 포기…‘의대 증원’ 영향

종로학원 분석, 최초 합격자 4854명 중 2236명 등록 포기
지난해(1927명)보다 늘어…“중복합격 다수 발생 탓”

2025학년도 연세대와 고려대 수시 최초합격자 등록 포기 상황/종로학원 제공

2025학년도 대학 입시 수시전형에서 고려대와 연세대 최초 합격자 46.1%가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 증원 영향으로 자연계 복수 합격자 학생들의 이탈이 심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입시에서는 중복합격으로 인한 추가합격이 과거보다 많이 발생할 전망이다.

 

19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18일 마감된 2025학년도 대학 입시 수시전형 최초 합격자 등록 결과 고려대와 연세대 최초 합격자 4854명 중 2236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이는 지난해(1927명, 40.6%)보다 5.5%p늘어난 수치다.

 

최초 합격자로 이름을 올린 대학에 등록을 포기한 것은 다른 대학에 중복으로 합격 후 등록을 했다는 의미다. 수시모집은 총 6곳 대학에 지원할 수 있으며 한 군데라도 합격하면 무조건 등록해야 한다.

 

연세대는 최초 합격자 47.5%에 해당하는 1033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지난해 최초 등록자 중 포기자는 784명을 36.4% 비중을 차지했지만, 올해 31.8% 늘었다.

 

고려대는 최초 합격자 44.9%인 1203명이 등록하지 않았다. 지난해 44.1%(1143명)보다 60명 증가해 5.2% 늘었다.

 

두 대학의 계열별로 보면, 자연계열에서는 연세대와 고려대가 각각 48.6%(지난해 43.2%), 43.6%(지난해 46%)의 최초 등록자가 등록하지 않았다.

 

자연계 학과별로 살펴보면, 고려대는 ▲전기전자공학부 65.2% ▲물리학과 64.5% ▲반도체공학과 60.0% ▲차세대통신학과 60.0%가 등록을 포기했고, 연세대에서는 ▲수학과 72.7% ▲첨단컴퓨팅학부 71.6% ▲화공생명공학부 69.8%가 등록을 안 했다.

 

자연계열에서 등록포기자가 늘어난 것은 의대 모집정원 확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인문계열에서도 수시 최초합격자 등록포기가 늘어났다. 인문계열에서는 고려대와 연세대 모두 47.7%가 등록을 포기해, 지난해(37.8%)보다 증가했다. 인문계열 학과를 보면, 고려대 ▲철학과 68.0% ▲정치외교학과 67.4% ▲경제학과 63.8%에 해당하는 최초 합격자가 등록을 하지 않았고, 연세대는 ▲융합인문사회과학부(HASS) 65.4% ▲교육학부 62.1% ▲경영학과 60.0%가 등록을 안 했다.

 

의대에 붙고도 등록을 하지 않은 학생도 작년보다 늘었다. 2025학년도 연세대 의예과 수시 최초 합격자 중 41.3%인 26명이 등록을 포기해, 지난해 30.2%(19명)보다 증가했다. 이는 자연계열 최상위권 학생이 인문계열로 교차지원한 뒤 중복합격하면서 포기한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연세대 치대의 경우 수시 최초 합격자 47.1%에 해당하는 16명이 등록을 포기하면서, 지난해 포기율 14.7%(5명)보다 3배 증가했다.

 

고려대 의예과도 수시 최초 합격자 55.2%(37명)가 등록을 하지 않았다. 지난해 50.7%(34명)보다 높은 수치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의학계열에서도 치대에서 의대로, 약대에서 의대로, 한의대에서 의대로 상당수 중복합격자 발생할 것"이라며 "현재 연세대, 고려대 수시 최초합격자 미등록 상황으로 볼 때, 전반적으로 중상위권, 중위권, 중하위권 전반에 걸쳐 추가 합격이 상당히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각 대학들은 추가 합격자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수시 추가합격 발표횟수, 합격자 전화 통보 등에 보다 더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수험생들은 추가합격자 전화를 못 받을 시 불합격 처리되므로 주의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