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올해 N수생 20만명대 예상”…2001학년도 이후 25년새 최대 규모 가능성

종로학원, 2026 대입 수능 지원 N수생 20만2762명 예상
2001년 26만9059명 이후 최대 가능성
"2026 의대모집 정원 변수가 N수생 변화 큰 변화 줄것"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지난해 11월 1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여자고등학교 고사장을 찾은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 손진영 기자 son@

2026학년도 11월 치러질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응시할 N수생이 20만명대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001년 이후25년새 최대 규모다. 특히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조정 변수가 N수생 규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2일 종로학원이 수능 접수자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6학년도 수능 N수생은 19만~20만명으로 예상된다.최근 연도 고3 졸업생 대비 N수생 비율, 연도별 재수생 추세, 고3 학생 수 등을 토대로 최대 20만2762명까지도 가능한 상황이라고 종로학원 측은 예측했다. 2025학년도 N수생은 18만1893명으로, 이보다 11.5% 증가한 규모다.

 

N수생이 20만명대를 돌파하면, 26만9059명이던 지난 2001학년도 이후 최대 규모다. 2002학년도부터 20만명을 넘어선 해는 없었다. N수생이 20만명이 넘어간 적은 1994학년도부터 2001학년도까지 모두 8번 있었고, 1996학년도가 31만3828명으로 해당 기간 최대 규모 N수생이 수능을 치렀다.

 

올해 졸업을 앞둔 고3 졸업생은 40만6079명으로, 이 중 34만777명이 2025학년도 수능에 응시했다. 이는 전년 동일 기준(32만6646명)보다 1만4131명(4.3%) 증가한 수준이다.

 

2025학년도 정시모집을 실시한 4년제 대학 202곳의 모집인원과 지원자 수를 대비해 보면, 어느 대학에도 들어가지 못하는 수험생은 1만1763명으로 전년보다 3.0% 늘어나는 상황이다. 이중 서울권 대학엔 5542명(3.5%) 증가하고, 경인권 2031명(2.3%), 지방권 4190명(2.8%)이 각각 늘 것이라고 종로학원 측은 예측했다.

 

특히, 2025학년도 전국 98개 의대·치대·한의대·약대 등 '메디컬분야'에서 정시 탈락 인원이 지난해 보다 3112명 (18.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중 의대에 작년보다 2028명(29.4%) 많은 학생이 정시에서 합격증을 받지 못하고, 전년보다 ▲치대 234명(20.3%) ▲한의대 254명(11.6%) ▲약대 596명(9.6%) 더 정시 탈락자가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단, 올해 고3 학생 수가 증가하면서 수능 전체에서 N수생이 차지 하는 비율은 지난해(34.8%)보다 다소 낮아질 수 있다. 2026학년도 고교 3학년 학생 수는 45만3812명으로, 지난해(40만6079명)보다 4만7733명(11.8%) 증가한다.

 

2026학년도 N수 규모 예상/종로학원

종로학원 측이 예상한 2026학년도 N수생 예상 비율은 34.5%로, 20만2700여명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현재 종합적인 상황으로 볼때 2026학년도 대입 수능 N수생 규모는 수능 응시자 34.5%정도로, 19~20만명 초반대까지 예상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현재 통계적 수치 흐름상으로는 20만명 돌파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조정 변수가 N수생 규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임 대표는 "최근 취업난 등의 여파로 상위권 대학 선호도가 뚜렷한 상황에서 정시 지원에서도 상향지원 패턴이 나타난 상황이고, 대학 진학 후에도 반수 등을 통한 상위권대학 재도전 심리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라며 "고3 학생 수 대비 실제 수능 접수자 비율도 2025학년도 83.9%로 최근 10년새 최대치로, 고3 수험생들의 수능 집중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lhj@metroseoul.co.kr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