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국내 대학 학위 인정 국가 늘어난다…韓, 고등교육 국제협약 참여

유네스코 글로벌 협약 비준 절차 완료
해외 대학 학사, 국내 인정 국가도 확대
영국·프랑스·호주 등 37개국 참여
“학령인구 감소 대응해 해외 유학생 유치 촉진” 기대

교육부와 외교부는 4일 국무회의에서 '고등교육 자격인정에 관한 글로벌 협약이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협약 당사국 내에서 고등교육 진입 시 학생이 보유한 학위·학점 등의 자격을 인정하는 게 골자다. /유토이미지

국내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받은 뒤 해외 대학에서 석·박사학위를 받기 위한 '학위 상호 인정' 협약 국가가 확대된다. 해외 대학에서 학사를 마친 뒤 국내 대학 대학원에 진학을 위한 학위 인정도 마찬가지로 가능해,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한 해외 유학생 유치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부와 외교부는 4일 국무회의에서 '고등교육 자격인정에 관한 글로벌 협약(이하 글로벌 협약)이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글로벌 협약의 국내 비준 절차가 완료돼 이달 중 유네스코 사무국에 비준서를 기탁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나라 간 학생 이동 장벽이 낮아지는 세계적 추세에 따라 고등교육 학위의 상호 인정을 위해 마련됐다. 협약 당사국 내에서 고등교육 진입 시 학생이 보유한 학위·학점 등의 자격을 인정하는 게 골자다.

 

지난 2019년 11월 제40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채택돼 2022년 12월에 20번째 비준국(안도라)의 가입으로 2023년 3월에 발효됐다. 이번에 우리나라는 37번째 비준국으로 참여하게 됐다.

 

글로벌 협약에 참여하는 비준국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노르웨이, 니카라과, 에스토니아, 프랑스, 루마니아, 튀니지, 크로아티아, 교황청, 리투아니아, 아르메니아, 영국, 코트디부아르, 쿠바, 팔레스타인, 스웨덴, 슬로바키아, 일본, 카보베르데, 아이슬란드, 안도라, 호주, 우루과이, 핀란드, 예멘, 기니, 헝가리, 몰도바공화국, 세네갈, 조지아, 룩셈부르크, 에콰도르,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 몽골, 산마리노, 지부티 등 37 곳이다.

 

글로벌 협약에 따라 이들 국가 간에는 고등교육 학위를 상호 인정받을 수 있다. 국내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받은 뒤 외국 대학에서 석·박사학위를 받기 쉬워지는 셈이다.

 

우리나라가 지난 2017년 이미 비준한 '고등교육 자격인정에 관한 아·태지역 협약'과 유사하다. 이번 협약으로 고등교육 자격인정의 적용 범위가 아·태지역을 넘어 더 많은 국가로 확대된 것이다. 우리나라 대학 학위가 국제 통용성이 확장되는 만큼, 외국 유학을 준비 중인 국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약 비준으로 외국 학위 및 자격의 통용성이 더욱 확대됨에 따라, 정부는 국내 대학에 협약국의 고등교육 제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대학이 역량 있는 외국의 우수 인재를 적극 유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협약 비준으로 국내 고등교육의 국제화가 보다 촉진돼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유학생 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Study Korea 300K 프로젝트) 등 교육 분야 국가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교육부는 앞으로도 국가학위정보센터 및 국내 대학 등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협약이 현장에 조기 안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lhj@metroseoul.co.kr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