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MWC25] 중국 AI 굴기에 세계가 "깜짝"

MWC 25 현장에 마련된 샤오미 부스의 모습. 샤오미는 전시부스를 통해 샤오미 생태계를 선보였다. /샤오미

딥시크(Deepseek)로 세상을 놀라게 한 중국의 인공지능(AI) 기술이 MWC에서도 빛을 발하고 있다.

 

5일 <메트로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해보면 현재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비아에서 열리고 있는 MWC25에 참가한 중국 기업은 전년 대비 56개가 늘어난 344개다. 화웨이, 샤오미, 차이나모바일, ZTE, OPPO 등 주요 기업이 대거 참가한 가운데 GSMA 발표 기준 매년 30% 이상 참가 기업의 수가 늘고 있다.

 

왕지핑 IDC 글로벌 차이나 부사장은 MWC25 현장 워크숍에서 "글로벌 이동통신 시장이 한계에 다다르면서 PC, 휴대전화, 태블릿을 포함한 단말기 시장이 전부 병목현상을 겪고 있다"며 "단말기 개발은 지능화, 다각화, 단편화로 전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AI 기술로 기존 단말기 기기와 휴머노이드 로봇, 체현된 지능, 자율 주행은 더 넓은 가능성을 갖게 됐다"고 덧붙였다.

 

중국 기업들의 선전에 미국의 대중(對中) 제재가 무색한 풍경도 펼쳐졌다.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의 크리스티아노 아몬 CEO는 젠 친 차이나유니콤 총괄 매니저(GM)과 현장에서 긴밀한 대화를 나눴다. 차이나유니콤은 중국 이동통신회사로 중국 3대 통신사 중 하나다.

 

이에 MWC에 참여한 중국 기업들의 화두도 AI였다. 주요 핵심 기업들이 모두 AI를 기반으로 한 전자·통신 기술을 선보인 가운데 소기업들까지 최첨단 AI 기술 대전에 뛰어들었다.

 

화웨이는 반 년 전 출시한 세계 최초 트리플 폴드폰 메이트 XT를 전시하면서 이른바 '오픈런'을 펼쳐지게 했다. 화웨이는 이번 MWC AI를 주제로 MWC 최대 전시 부스9000㎡(2700평)를 꾸렸는데, 체험을 위해 메이트 XT 제품 2대를 전시했다. 이밖에도 화웨이는 최신 모듈(Fusion Module 2000)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통해 AI 연산 최적화 기술을 선보였다.

 

샤오미는 전기차 모델 울트라 SU7을 선보였다. 하나의 부스에 스마트폰, 웨어러블 전자기기, 사물인터넷(IoT) 기술은 물론 자동차까지 망라했다. 부스가 다양한 영역을 망라했듯 샤오미의 제품들은 샤오 AI로 불리는 대규모언어모델(LLM)로 엮여 거대한 샤오미 생태계를 꾸렸다.

 

샤오미폰을 손에 쥔 채 전기차를 탑승하면 차량의 하이퍼(Hyper) 운영체제로 즉각 연결 돼 기능이 제어됐고, 차가 집에 도착했음을 인식하자 창문 커튼이 자동으로 열리고 샤오미 로봇청소기가 작동하는 유기적 생태계였다.

 

아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기반으로 한 세계 최초의 개인 모바일 AI 에이전트를 선보였다. 또 휴머노이드 로보틱스 기술도 선보여 주목 받았다.아너는 로봇제조사 파시니와 협업한 로봇 손을 선보였는데, 손가락을 꼬는 등 어려운 동작까지 모두 지체없이 따라하며 기술력을 뽐냈다.

 

MWC에 참가한 중국기업들의 피지컬 AI(Physical AI) 기술에 대해 IT·통신업계 관계자들은 중국 기술 굴기에 전세계가 놀랐다고 평가했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LLM 기술의 고도화가 가장 중요한 문제처럼 여겨지고 있지만 결국 AI 기술의 정점에는 실제로 만지고 활용할 수 있는 AI 하드웨어와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될 것"이라며 "매년 폭발적인 성장을 이뤄내는 중국의 AI 기술에 우리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고민할 때"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