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서울시, 스타트업 800여개 육성…올해 265억 투입

공덕·성수·창동·마곡 등 4개 창업허브 중심 지원 강화
350개 기업 해외 진출 지원
해외거점 8개소 이상 확대해 현지 밀착지원
AI·로봇 등 신산업 유망 스타트업 132개 선발

서울창업허브 공덕 모습/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국내 스타트업 성장을 위해 올해 4대 창업허브를 중심으로 '창업지원 사업'에 총 265억원을 투입해 약 800개 기업을 선발, 지원한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시는 체계적 창업지원을 위해 서울 전역에 총 23개의 창업지원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공덕(로봇, AI 등 기술창업 전분야) ▲마곡(정보통신, 나노, 환경, 바이오) ▲성수(ESG) ▲창동(뉴미디어 및 글로벌 SNS 마케팅 등) 등 4개 창업허브는 해외진출 지원, 개방형혁신(오픈이노베이션), 투자유치 등 스타트업 고속성장(스케일업)을 지원하며, 미래 성장동력의 선제적 확보를 위한 특화 거점으로 운영 중이다. 서울시 지원으로 지난해까지 총 907개 스타트업이 해외시장 진출에 성공했으며, 투자유치 1827억원, 기업매출 2384억원, 해외 법인설립 117개사 등의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

 

■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가속화

 

시는 기술 경쟁력을 가진 국내 기업이 좁은 내수시장 한계를 넘어 해외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망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지원을 강화한다. 올해는 약 34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미주·유럽·아시아 등 세계 전역에 약 350개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미래 첨단산업의 초점이 AI로 모인 상황에서 AI 스타트업 집중지원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AI 경쟁력과 성장잠재력이 높은 10개국을 선정해 AI 스타트업의 해외진출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아울러, 단순 1회성 지원에서 벗어나 지원기업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과 추가 사업화 지원 등의 후속지원도 강화해 후속 투자유치, IPO(기업공개) 등 실질적 성과를 이끌어 낼 계획이다.

 

■ 해외거점 및 네트워크 구축 확대

 

스페인, 베트남, 인도, 싱가폴, 독일, 아랍에미리트 둥 6개국 7개소에서 운영 중인 '스타트업 해외진출 지원 거점'도 8개소 이상으로 확대한다.

 

올해는 현지 공공기관, 민간 액셀러레이터 등과 협력하여 일본, 태국 등에 해외거점을 추가 구축하고 사무공간 제공, 법률·경영 컨설팅, 법인설립 등 스타트업의 안정적인 현지 안착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럽 혁신 기업들과 우리 스타트업의 산업협력도 추진한다. '창업허브 M+'와 EU Buisness Hub 프로그램 주관사인 '딜로이트 컨소시엄'과 협업을 통해 유럽 기업과 우리 기업의 비즈니스 네트워킹 등을 지원한다. 또한, 에스토니아 탈린시를 기술 실증 테스트베드로 제공하는 'Testbed in Tallinn'을 통해 유럽지역에서의 기술실증 기회도 확대한다.

 

CES, 슬러시(SLUSH) 등 해외 스타트업 행사와 교류를 통해 첨단산업에 대한 글로벌 통찰력은 물론 투자유치 및 네트워킹 기회도 제공한다.

 

혁신기술은 있지만, 네트워크나 자본이 부족한 스타트업과 신사업 창출 등을 위해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가 필요한 대·중견기업을 연결하는 개방형 혁신 지원사업을 올해도 4대 창업허브를 중심으로 추진한다. 약 32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100개사 이상의 대·중견기업과 300개 이상의 스타트업의 협력을 끌어낸다는 목표다. 특히 대기업의 위주의 개방형혁신 생태계를 중견기업까지 확대한다.

 

■ 창업생태계 글로벌 개방성 확대…AI 등 미래산업 스타트업 발굴

 

시는 글로벌 협력파트너와 네트워크 강화, 외국인 창업자 유치, 글로벌 홍보 콘텐츠 강화 등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올해 총 24억원을 투입한다.

 

우선, 오는 9월 열리는 스타트업 축제 '트라이에브리씽'이 스타트업의 글로벌 네트워크 장이 될 수 있도록 글로벌 프로그램 운영을 확대한다. 해외관 운영을 8개국에서 12개국으로 확대하고, 글로벌 진출 노하우 공유, 신사업에 대한 국제 트렌드 및 기술동향 등 스타트업 해외 진출을 위한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서울 유니콘 챌린지'의 외국기업도 참여도 11개에서 20개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해외 유망기업의 서울 창업생태계 유입도 추진한다. 작년 태국 5개 기업에 대해 국내비자 제도 설명 및 창업 컨설팅과 MS 코리아와 밋업 등 시범 프로그램을 추진한 바 있으며, 올해는 태국, 독일 등 현지 거점 중심으로 Barter(바터) 프로그램을 신설, 해외 우수기업의 국내 유입을 본격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서울창업허브에서는 AI, 로봇, XR 등 미래성장 분야 초기·성장 스타트업 선발-육성-투자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시는 4개 서울창업허브에서 올해 총 132개사의 입주기업을 모집하고, 허브별 특화 분야를 중점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마곡 산업단지 내에 기반을 두고 있는 M+의 경우 마곡산업단지 기업과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 개방형 혁신과 연계해 입주기업을 모집하고 있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창업을 꿈꾸는 이들에게 서울창업허브는 단순한 공간이 아닌 성공의 시작점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서울창업허브 4개소를 중심으로 AI, 로봇 등 신산업 스타트업 성장과 공격적인 해외진출 지원에 집중해 우리 기업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