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인터넷은행-시중은행,연체율 관리 '비상'

인터넷은행은 중금리대출, 시중은행은 사업자대출 부실 증가

/뉴시스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개인은 물론 기업의 부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중금리대출을 공급하던 인터넷은행은 연체율이 시중은행의 3배 수준으로 높아졌고, 가계대출 관리강화로 기업대출 영업을 강화한 시중은행은 개인사업자 대출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오르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카카오뱅크의 중금리 대출 비중은 32.8%로 집계됐다. 중금리 대출은 일반적으로 신용등급이 4~7등급인 중신용자를 대상으로 연 10% 전후(7~15%)의 금리로 제공하는 개인신용대출을 말한다.

 

당국은 앞서 인터넷은행의 출범 목적은 효과적인 신용평가 시스템을 만들어 중저신용자 대출을 늘려야 하는 것이라며 올해 신규대출 취급액의 30% 이상을 중저신용자 신용대출을 채워야 한다고 했다.

 

아직 실적이 나오지 않은 케이뱅크와 토스뱅크도 중신용자 대출비중이 30%를 넘어설 전망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아마도 30% 이상은 달성했을 것"이라며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하면 신사업 인허가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맞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4대은행, 인터넷은행 연체율 비교/금융감독원

◆ 인터넷은행, 중금리대출 연체율↑

 

인터넷은행들은 당분간 중금리 대출을 더 이상 늘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경기가 악화할수록 중금리 대출 대상이 되는 소비자들은 소비를 줄이고, 대출 상환액을 부담으로 느껴 신청하지 않는 반면 대출 상환이 우려되는 저신용자의 대출 신청만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 관계자는 "일반 신용대출은 투자명목의 대출이 많을 수 있지만, 중금리 대출은 생활자금 목적으로 신청하는 경우가 많다"며 "심사, 관리를 강화하고 있지만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인터넷은행의 연체율은 평균 0.87%로 전기(0.78%) 대비 0.09%포인트(P) 올랐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0.26%)과 비교해 3배 수준이다. 여기서 중금리 대출이 필요한 이들에게 자금을 공급할 경우 연체율은 더 상승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 사업자대출 연체율 고공행진

 

당국의 가계부채 관리감독을 피해 기업대출을 늘렸던 시중은행도 연체율에 난감하긴 마찬가지다. 경기침체로 소비가 줄면서 수익을 내기 어려운 기업들이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업대출 중 개인사업자대출은 대출 총액보다 연체액이 더 크게 늘었다.

 

올해 1분기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에서 1개월 이상 연체된 개인사업자대출 잔액은 1조7460억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1조3750억원)보다 27%가량 늘었다. 지난 2023년 1분기(9840억원)와 비교하면 2년새 1.8배 증가했다.

 

이 기간 5대 시중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은 324조7174억원으로 1년전(322조1169억원)보다 0.8% 증가했다. 2년전(314조7218억원)과 비교하면 3.2% 증가한 수준이다.

 

대출 총액보다 연체액이 더 크게 증가하면서 개인사업자 대출의 연체율도 올랐다. 1분기 기준 5대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평균 0.51%로 지난해 말보다 0.09%p 올랐다.

 

은행 관계자는 "개인사업자 대출은 주로 요식업과 일반 도소매업자들이 받는데, 최근 소비가 줄면서 연체가 증가하고 있다"며 "당분간 개인사업자 대출 심사를 강화해 리스크를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