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카드

'급전창구' 금리 요지부동…하반기 한도도 낮아진다

여전채 금리 연일 하락세에도 카드론 금리는 상승세
저축銀 대출문턱 유지하고 카드사는 높인다...팍팍한 급전창구

Chat GPT가 생성한 '텅 빈 금고' 이미지./

카드사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금리가 떨어지고 있지만 카드론 금리는 횡보세다. 금융당국이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을 발표하면서 하반기부터는 한도도 축소될 전망이다.

 

14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여전채(AA+/3년물) 금리는 연 2.81%다. 전년 동기(3.58%) 대비 0.77%포인트(p) 하락했다. 직전 3개월과 비교하면 0.31%p 떨어진 수치로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여전채는 카드사가 자금운용을 위해 발행하는 채권이다.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등 금융상품의 '원가'인 셈이다.

 

여전채 금리가 내리막길을 걷고 있지만 카드론 금리는 횡보세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4월 카드론 평균 금리는 연 14.75%다. 전년 동기(연 14.51%) 대비 0.24%p 상승했다. 같은 기간 신용점수 700점 이하 평균금리를 살펴 보더라도 0.35%p 오른 연 17.68%로 집계됐다. 통상 카드사가 조달한 자금을 3~4개월 후에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채권금리 하락분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카드론 금리가 오른 배경은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축소 정책에 발맞춘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9월 DSR 2단계 시행 이후 카드론 수요가 급증하는 '풍선효과'가 발생하면서다. 2금융권 신용대출이 DSR 2단계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급전 수요가 카드론으로 몰렸다는 것.

 

카드사의 수익성 악화도 카드론 금리 인상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올해 가맹점 수수료율이 일괄 하향 조정되면서 수익성 보전을 위해 금융상품 금리를 인상했다. 카드사는 신용카드 및 플랫폼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입장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꾸준한 수요가 있는 상품을 통해 수익성을 보전해야 하지만 건전성 관리를 생각하면 잔액을 확대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공급량을 조절하면서 수익을 확대하는 전략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하반기부터는 급전을 빌리기가 더 팍팍해질 전망이다. 오는 7월 금융당국이 DSR 3단계 시행을 예고하면서다. 금융당국은 이달 DSR 3단계에 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2금융권 신용대출이 규제 사항에 포함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금융권 신용대출이 스트레스 DSR 산정에 포함되면 사실상 2금융권에 적용한 첫번째 사례가 된다. 스트레스 DSR이란 원리금 상환 비율에 스트레스 금리를 적용해 한도를 낮추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DSR 2단계에서는 2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포함됐지만 카드사와 저축은행이 취급하는 주담대 상품이 없는 만큼 실효성은 떨어졌다.

 

카드업계와 저축은행 모두 정부의 구체적인 시행 계획이 나오면 관련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저축은행은 대출문턱을 높이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부실채권(NPL) 매각이 우선이기 때문이다. 올 하반기에도 리테일(소매금융) 공급 제한 기조를 이어갈 전망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리테일 취급이 크게 줄어든 만큼 공급량 규제에 따라 대응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