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국내 유통 산업의 무게추가 '내수'에서 '해외'로 옮겨가고 있다. 고물가, 소비 위축, 시장 포화라는 3중고 속에서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 있다.
메트로경제는 이번 시리즈를 통해 K-푸드 산업이 아시아 각국을 어떻게 공략하고 있는지 지역별 전략을 중심으로 짚어본다. 베트남·중국·인도·일본을 무대로 펼쳐지는 업계의 생존전략을 따라가 본다.
국내 식품·유통 업계가 베트남을 '제2의 내수시장'으로 삼고 전방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1억 명에 달하는 인구와 높은 성장률, 두터운 젊은층에 힘입어 현지 생산시설을 확장하고, 수출 거점으로 삼기 위한 공세가 거세다. 식품 제조는 물론, 음료·육가공·간편식·냉동식품 등 카테고리도 다변화되며 'K-푸드의 격전지'로 떠올랐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베트남의 중산층 소비자 수는 2030년까지 75%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2000년 10% 미만, 2023년 40%였던 수치를 감안할 때 가파른 성장세다. 연평균 6%대 경제성장률, 저렴한 인건비, 젊은 소비층(20~40대 인구 비중 약 46%) 등도 식품업계의 투자를 자극하는 요인이다. 라면 1인당 소비량은 연간 90개로 세계 1위를 기록 중이다.
대상은 1994년 베트남에 진출한 이후, 현지에서 총 4개 공장을 운영 중이다. 특히 지난해 하이즈엉 및 흥옌 공장 증설에 300억원을 투자했고, 올해는 흥옌 공장에 신선 간편식 전용 라인을 추가해 생산 효율을 30% 향상시켰다. 하이즈엉 공장도 김·김치 라인 자동화율을 높여 기존 대비 40% 증산이 가능해졌다. 대상의 지난해 베트남 매출은 2450억원이며 올해는 3000억원 돌파가 목표다.
팔도는 떠이닌성 제2공장을 지난해 준공한 데 이어, 조리면·즉석면 외에 스낵면 및 현지 맞춤 제품 생산도 시작했다. 현재 제1·2공장을 합쳐 연간 7억 개 규모 라면 생산능력을 확보했고, 음료 생산라인까지 갖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했다. 오뚜기는 박닌·빈증 공장에서 각각 라면과 소스를 생산 중이며, 지난해 한국 라면과 베트남 라면이 결합된 '오빠 라면' 시리즈 4종을 선보이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오리온은 2005년 베트남 법인을 설립한 이후, 초코파이를 중심으로 라인업을 확장해왔다. 오리온 베트남 매출액은 지난해 5145억원으로 전년 대비 8.2% 성장했다.
오리온은 베트남이 성장잠재력이 큰 시장인 만큼 총 1300억 원을 투자해 베트남 1등 식품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확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올 하반기에는 하노이 옌퐁공장 내 신공장동을 완공하고, 쌀스낵 라인 증설로 공격적인 시장 확대에 나선다. 쌀스낵은 출시 6년 만인 올해 마켓쉐어 1위 달성을 목전에 두고 있다. 캔디 등 신제품뿐만 아니라 파이, 젤리 등 기존 제품의 추가 생산라인도 순차적으로 확대해 향후 9000억원 수준까지 생산능력을 키울 계획이다. 물류센터와 포장공장이 들어서는 하노이 3공장은 올해 착공해 2026년 완공이 목표다.
CJ제일제당은 베트남을 '비비고' 글로벌 수출 거점으로 키우고 있다. 키즈나 공장에는 현재까지 누적 920억원을 투자했고, 2026년까지 500억원 추가 투자를 통해 냉동만두·볶음밥·김치 등 C2C(글로벌 수출용 생산기지) 중심의 전략을 강화 중이다. '비비고 김치'는 베트남 내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주류업계도 베트남 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현재 베트남 하노이 인근 타이빈성 그린아이파크 산업단지에 소주공장을 건설 중이다. 2026년 완공 예정으로, 연간 100만 상자 규모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며 동남아시아 수출 전진기지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현지 생산을 통해 국가별 용기·패키지 대응력과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통 기업에서는 롯데쇼핑과 GS리테일이 베트남 시장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롯데쇼핑은 앞선 2008년 국내 유통업계 최초로 베트남 시장에 진출했다. 베트남이 2007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 외국계 유통기업이 베트남에 단독 법인을 설립할 수 있게 됐다.
이후 롯데쇼핑은 베트남에 롯데백화점(3곳), 롯데마트(15곳) 등 오프라인 점포를 늘리면서 매출도 점진적으로 확대됐다. 실제 롯데쇼핑의 베트남(지역) 매출은 2013년 1377억원→2018년 3608억원→2023년 453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10년 동안 3배 이상 성장한 셈으로 연평균 성장률은 12.69%에 달한다.
특히 베트남 하노이 서호 인근에 오픈한 복합쇼핑단지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는 오픈 후 약 1년 만인 지난해 7월 말 기준 매출 2000억원을 돌파했다.
롯데쇼핑은 2028년까지 베트남에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와 같은 복합쇼핑단지를 2~3곳 추가 오픈하기 위해 부지를 물색하고 있다. 연 매출 2000억원 이상의 대규모 시설이 3곳 이상 확보된다면 베트남사업에서 창출되는 매출도 1조원을 넘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GS리테일은 베트남에 투자를 집중하고 공격적인 확장에 나선다. 회사는 2018년 베트남에 진출, 현재 직영점과 가맹점을 포함해 편의점 350여곳을 운영중이다. 향후 하노이를 거점으로 북부 지역에 40개 매장을 추가로 오픈하고 베트남 전역으로 500개, 2027년까지 700개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다.
지난해 인도네시아 유통 시장에서 홈쇼핑 사업을 중단하고 슈퍼마켓 사업까지 접은 GS리테일은 동남아시아 사업 전략을 다시 짜고 있다.
GS리테일 베트남 법인은 지난해 매출 1104억원, 영업손실 69억원을 기록했다. 베트남 지역에서 GS25가 독보적인 지위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사업 규모를 키우면 규모의 경제에 따른 수익성 개선으로 흑자 전환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K-콘텐츠 인기에 힘입어 베트남에서 K-소비재와 식품이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며 "현지인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 개발과 공장 증설, 동남아 수출을 연결하는 거점 확보까지 3박자가 맞물린 전략이 주효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