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립7 FE 美 FCC 인증…9일 언팩 공개
폴더블폰 성장세 둔화 대응 전략
가격장벽 낮추며 기기 라인업 확대
삼성전자가 보급형 스마트폰과 태블릿, 그리고 첫 저가형 폴더블폰의 미국 출시 승인을 받으며 하반기 '대중화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고가 정책으로 성장이 둔화한 폴더블폰 시장에 보급형 라인업을 확대해 점유율을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7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 따르면, 삼성의 ▲갤럭시 Z 플립7 FE(모델명 SM-F761U), ▲갤럭시 A17 5G(SM-A176B), ▲갤럭시 탭 S10 라이트(SM-X400) 등 3종의 신제품이 모두 FCC 인증을 통과했다.
FCC 승인은 미국 시장 출시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공식 절차로, 인증 후 통상 1~3개월 내 출시가 이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장 먼저 인증을 마친 제품은 갤럭시 Z 플립7 FE(플립7 FE)다. 6월 중순 인증을 획득한 플립7 FE는 삼성전자가 처음 선보이는 보급형 폴더블폰으로, 기존 Z 플립6(256GB 기준 148만5000원)보다 가격이 대폭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플립7 FE는 기존 플립폰과 동일한 조개껍데기(클램셸) 모양을 유지하되, 내부 6.7인치 화면과 외부 3.4인치 커버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전망이다. 대신 비용 절감을 위해 화면 주사율을 60Hz로 낮추고, 배터리는 3900mAh, 카메라는 1200만 화소 듀얼 구성으로 단순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6월 25일 FCC 인증을 받은 갤럭시 A17 5G는 2025년형 보급형 5G 스마트폰으로, 인도·동남아·남미 등 신흥시장을 주요 타깃으로 한다. 25W 고속충전(9V/2.77A), 듀얼 SIM, NFC, Wi-Fi 5 등 기본적인 연결 기능을 갖추고 가성비에 중점을 뒀다.
갤럭시 탭 S10 라이트는 7월 3일 인증을 마쳤다. 삼성의 중급 태블릿 라인업인 탭 S 시리즈의 엔트리급 모델로, 이번에 와이파이 전용 모델(SM-X400)이 인증을 받았으며 향후 셀룰러(LTE/5G) 모델도 출시될 가능성이 있다. 45W 고속충전, Wi-Fi 6E, 마이크로SD 슬롯, 전면·후면 카메라, S펜, 키보드 연결용 포고핀 등을 갖춰 교육·생산성 중심으로 활용도가 높다.
삼성전자의 이 같은 행보는 폴더블폰 시장의 성장세 둔화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출시된 Z 플립6·폴드6는 출시 6개월간 521만 대가 판매돼 전작 대비 9% 줄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도 2025년부터 폴더블폰 시장이 감소세에 접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일반 스마트폰보다 여전히 높은 가격이 보급 확산의 걸림돌"이라며 "삼성은 가격 장벽을 낮춘 대중형 모델로 신규 고객층 확보를 노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오는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갤럭시 언팩 2025'에서 Z 플립7·폴드7과 함께 보급형 플립7 FE를 공개할 예정이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