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특징주

[특징주] '방시혁 리스크'에 흔들리는 하이브…"BTS 컴백만 기다려"

SM·JYP·YG 주가 반등 속 하이브만 하락세 지속
금융당국, 방시혁 의장 ‘사기적 부정거래’ 검찰 고발 예정
증권가는 낙관 유지…시장선 “신뢰 붕괴 우려”

방시혁 하이브 의장(왼쪽), 지난 6월 11일 그룹 방탄소년단(BTS) 정국, 지민이 전역한 날, 서울 용산구 하이브 사옥 앞에서 BTS의 팬덤 '아미'(ARMY)들이 멤버들의 전역을 축하하고 있다./뉴시스

하이브 주가가 연일 하락세를 보이며 엔터주 가운데 유독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BTS 완전체 컴백이라는 대형 호재에도 불구하고, 방시혁 하이브 의장의 '사기적 부정거래' 의혹이 투자심리를 짓누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SM엔터, JYP엔터, YG엔터 등 경쟁사가 간판 아티스트들의 앨범·투어로 주가 반등을 이어가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11일 코스닥시장에서 JYP엔터는 트와이스의 신보 출시 효과로 5.49% 급등한 7만4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번 주(5거래일간) JYP엔터는 5.64% 상승했고,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역시 블랙핑크 월드투어 효과로 소폭 상승세(+1.88%)를 보였다. 반면 하이브는 이날 27만10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이달 1일 고점(31만8000원) 대비 14.78%나 하락으며 5거래일 동안은 2.34% 하락했다. 지난 4일부터는 줄곧 30만원선을 하회하는 약세 흐름을 보인 것이다.

 

하이브의 주가 부진은 방 의장을 둘러싼 금융당국의 검찰 고발 추진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금융위원회 산하 자본시장조사심의위원회는 지난 7일 방 의장을 자본시장법상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는 안건을 의결하고 증권선물위원회에 넘겼다. 증선위는 16일 열리는 정례회의에서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방 의장은 하이브 상장 전인 2019년 기존 투자자들에게 "상장 계획이 없다"고 속이고, 자신과 특수관계에 있는 사모펀드에 지분을 넘긴 뒤 상장을 통해 2000억원 규모의 차익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당초 상장이 없다는 설명을 듣고 투자 판단을 내린 투자자들은 손해를 본 반면, 방 의장 측은 사전 계약을 통해 수익을 분배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이브 측은 "상장 과정과 관련해 심려를 끼쳐 송구하다"며 "법률과 규정을 준수했으며 금융당국 조사에 성실히 협조 중"이라는 입장을 내놨지만, 시장에서는 오너 리스크가 장기화될 경우 주주 신뢰를 근본적으로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권가는 여전히 낙관적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한화투자증권은 내년 BTS의 연간 앨범 판매량을 900만장, 콘서트는 40회로 가정하며 MD(기획상품), 콘텐츠, 멤버십 등 간접 매출 확대를 통해 큰 폭의 실적 개선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메리츠증권도 "빅히트 신인그룹 데뷔, BTS 콘텐츠 공개 등이 이어지며 주가 모멘텀이 여전하다"며 목표주가를 37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하지만 이런 증권가의 기대와 달리, 시장의 신뢰는 쉽게 회복되기 어려운 분위기다. 실적 기대는 여전하더라도, 방 의장을 둘러싼 법적 리스크가 현실화될 경우 기업 이미지 훼손은 물론, 기관·외국인 투자자의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