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찾은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 '화성 비봉 예미지 센트럴에듀'. 지난 1월 입주를 시작했다. 수인분당선 야목역에서 내려 1번 출구에서 22-7번 버스를 타고 10분 가량 걸렸다.
연회색 화강석으로 마감된 입구는 '예미지'로고가 중앙에 배치돼 깔끔하면서도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붉은색과 흰색 조합의 단지 외부는 도시적인 세련미를 더하고 단차를 따라 오르는 계단과 좌우에 식재된 조경수가 품격을 보여준다.
인근에 비봉나들목(IC) 등을 이용해 수도권 전역으로 이동이 편리하다. 향후 고속철도(KTX) 어천역(2026년 예정)이 개통되면 전국 곳곳으로 이동이 수월해진다.
단지 인근에 만찬산, 왕래봉산, 동화천 등이 있어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고 산책로와 연계돼 쾌적한 환경을 누릴 수 있다. 단지 내에 어린이집이 있고 바로 앞에는 청연초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단지에서 5㎞ 떨어진 곳에 신세계그룹이 약 4조5000억원을 투자하는 화성 국제테마파크가 2026년 착공 예정으로 2030년 개장을 목표로 사업 진행에 속도가 점차 붙어 수혜가 기대된다.
금성백조건설이 시공한 화성 비봉 예미지 센트럴에듀는 지하 1층~지상 최고 25층, 10개동, 총 917가구 규모로 조성됐다. 전용면적은 실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76㎡(442가구)와 84㎡(475가구)로 구성됐다.
정남향 위주 배치에 전 가구 4베이·맞통풍 구조로 선보인다. 천장고를 2.4m로 설계해 가구 내 개방감을 높였고 대형 드레스룸과 팬트리로 수납공간을 넉넉히 확보하고 다용도실 공간을 최적화해 공간 활용의 실용성을 높였다.
계단으로 올라가니 화성 비봉 예미지 센트럴에듀만의 그리스 로마신화를 모티브로 한 조경이 눈에 띄었다. 단지로 들어서면 카네이션 조형물이 보인다.
제우스의 꽃이라고도 불리는 카네이션은 '어머니의 사랑'을 뜻한다. 하늘을 향해 만개한 꽃다발 처럼 단지의 상징성과 생동감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고요한 잔디광장과 나무들 사이에 놓인 이 작품은 조경의 중심축이자 입주민의 시선을 머물게 한다.
그 옆에 자리한 서덕현 작가의 작품 '소원'은 우리 모두의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날개짓하는 모습이 별과 함께 동화되는 듯한 모습을 통해 은유적으로 전달한다.
단지 뒷편에 위치한 놀이터에는 태양신 '아폴론'의 태양 마차를 모티브로 한 놀이기구가 설치돼 있다. 불꽃 문양이 감싼 붉은 수레와 구름 위를 달리는 말은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신화 속 장면을 체험하도록 유도한다.
미세먼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전광판도 별자리 모양이 새겨진 원형 방패와 이를 이끄는 형형색색의 사슴 조형이 결합된 형태로, 마치 '별을 실어 나르는 마차'처럼 연출됐다. 신화적 상상력을 더한 디자인 덕분에 실용성과 조형미를 동시에 갖췄다.
잔디 정원 한가운데는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를 연상시키는 대형 망치 조형물이 꽂혀 있어 눈길을 끈다. 육중한 망치가 대지를 내리친 듯한 연출은 신화적 상상력을 자극하며 조경 공간에 역동적인 긴장감을 불어 넣는다.
옆에 자리한 휴게 공간은 태양계를 형상화한 행성 조형물이 설치돼 우주와 신화가 조화를 이루는 상징적 공간을 연출한다. 거칠고 둥근 표면이 인상적인 운석 조형물도 놓여 있다. 깊이 패인 충돌 흔적과 불규칙한 외형은 마치 우주에서 떨어진 운석이 실제로 착지한 듯한 생동감을 더한다.
바람에 흩날리는 날개깃털 조형물은 생명의 기류를 형상화했다. 민들레 홀씨를 형상화한 설치물과 함께해 씨앗이 퍼지는 장면처럼 공간 전체에 생명감과 움직임이 흐르도록 연출됐다. 자연과 조형이 어우러진 이 공간은 단지 조경에 시적이고 감각적인 분위기를 더한다.
단지 내 석가산 옆에는 신화 속 바다를 상징하는 조형물들이 배치돼 있다. 조개껍질 모양의 구조물은 바다에서 솟아오른 생명의 기원을 형상화했다. 삼지창을 움켜쥔 거대한 손 조형물은 땅을 뚫고 솟아올라 시선을 사로잡는다. 바다의 신 포세이돈을 연상시키는 이 장치는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큰곰자리'와 '작은곰자리'를 상징하는 곰 조형물은 단지의 상징이다. 아르테미스에 의해 곰으로 변한 칼리스토와 그의 아들을 하늘로 올려 보낸 제우스의 이야기가 시각적으로 구현돼 단지 내 조경 공간에 신화적 상상력과 교육적 요소를 더한다./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