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기간산업 붕괴 막고 경쟁력 강화 가속화…철강·석유화학 등 산업계 체질개선 나서

-철강, 석유화학, 배터리 등 산업의 쌀로 불리는 산업 구조조정 본격화
-특히 고질적 항아리형 인력구조의 한계 극복 집중
-중국의 물량 공세와 미국의 관세 등 악재 장기화 조짐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전경.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중국발 공급과잉이 맞물리며 '산업의 쌀'로 불리는 석유화학과 철강 업계가 장기 불황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생산설비 가동 중단에 이어 희망퇴직 실시 등 회생을 위한 고강도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19일 산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경기 침체, 중국발 공급 과잉, 전방산업 부진이라는 삼중고에 직면한 전통 제조업의 한파는 거세지고 있다. 중국산 저가 물량 공세와 미국의 관세율 50% 유지에 따른 직격탄을 맞은 철강업계는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직원들에 대한 구조조정과 임원 보수 지급 등 축소경영이 확산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올해 포항 2공장 가동을 전면 중단하고 지난 3월 창사 이래 첫 전 직원 대상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등 강도높은 자구책을 시행했다. 이에 올해 상반기 정규직 직원수는 1만1167명으로 지난해말 정규직 직원수 1만1361명 대비 194명 감소했다. 또 임직원 보수도 줄어들고 있다. 현대제철은 올 상반기 미등기 임원 66명에게 총 106억4300만원을 지급, 1인당 평균 급여액은 1억6100만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 총 급여액은 124억4200만으로 1인당 평균 1억8900만원에 비해 15% 가량 줄어들었다.

 

무엇보다 가장 안정적인 기업으로 꼽히던 국내 철강 1위 기업 포스코조차 지난해 희망퇴직을 단행했다. 올해 상반기 포스코의 정규직 직원수는 1만6230명으로 지난해말 1만6784명 대비 554명이 감소했다.

 

포스코는 임원수와 보수가 모두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미등기 임원 55명에게 총 152억3500만원을 지급했다. 지난해 상반기 포스코의 미등기 임원은 58명이었고, 임원 총 지급액은 163억6700만원이었다.

 

이재윤 산업연구원 탄소중립산업전환연구실장은 "미국의 철강 제품에 대한 50% 관세 부과로 국내 철강업계의 어려움이 확산되고 있다"며 "전력 요금 등 생산 비용은 높아지는 반면 판매 감소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일부 기업들은 감산이나 설비 폐쇄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케이스틸법이나 철강산업 지원 전략을 통해 일단 단기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해야 산업 전환을 추진할 수 있는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며 "산업 자체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인센티브 마련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불과 2년 전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며 고속 성장을 이어온 배터리 산업도 위기에 봉착했다. 전기차 시장이 일시적 수요 정체기인 캐즘 현상 장기화로 SK온은 흑자 전환이 늦어지며 지난해 9월 출범 이후 첫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배터리 소재 기업인 SK넥실리스도 폭발적으로 성장하던 시장이 숨 고르기에 들어가자 인력 감축에 나섰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외부 전경.

국내 석화 업계도 생존을 위해 생산라인 조정 등 자발적인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LG화학은 경북 김천공장 전체와 전남 나주공장의 가동을 중단하고 공장 효율화 작업에 들어갔다. 롯데케미칼은 나프타분해설비(NCC) 가동률 축소를 검토 중이다. 실제 롯데케미칼의 올 상반기 NCC 평균가동률은 64.4%로, 전년 동기(81%)보다 16.6%포인트(p) 감소했다. 범용 플라스틱 제품 원료로 쓰이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PE) 공장의 가동률은 각각 88.5%에서 72.8%로, 88.8%에서 71.7%로 하락했다.

 

한화솔루션은 석화 부문보다는 태양광 중심으로 투자하며 리밸런싱을 단행하고 있다. 지난 2023년부터 3조2000억원을 들여 미국 조지아주에 최대 규모의 태양광 통합단지 솔라허브를 구축하고 있으며, 올해 솔라허브를 완공하고 하반기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주요 기업들의 강도높은 구조조정 상황은 올해 2분기 실적에서 확인할 수 있다. LG화학의 석유화학 부문은 올해 2분기 매출 4조6962억원, 영업손실 904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롯데케미칼은 매출 4조1971억원, 영업손실 2449억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됐다.

 

LG화학 충남 대산공장 전경.

SK이노베이션은 석유사업에서 매출 11조1187억원, 영업손실 4663억원을 기록했고, 화학사업에서도 매출 2조2686억원, 영업손실 1186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실적이 감소했다. 한화솔루션의 케미칼 부문은 매출 1조2390억원, 영업손실 468억원으로 적자 기조를 이어갔다.

 

산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외부적인 요소로 특정 산업에만 실적 악화 현상이 나타났지만 최근에는 전반적으로 위기감이 확대되는 분위기"라며 "철강과 석화산업은 국가기간산업으로 분리되는 만큼 공멸하지 않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이 생존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